금융위, 4% 이상 낙찰자에 사외이사 추천권…전문가 "정부안 매력 부족"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장(사진)은 투자자들이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30%를 매입할 분위기가 조성됐다고 22일 밝혔다. 우리은행 지분 4% 이상 낙찰받은 투자자에게 사외이사 추천권을 주기로 했다. / 사진=뉴스1

금융당국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30%를 살 투자자 여건이 조성됐다고 22일 밝혔다. 당국은 우리은행 지분 4% 이상을 낙찰받은 투자자에게 사외이사 추천권을 주기로 했다. 우리은행 매각 가능성에 대해 전문가들 시각은 부정적이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정례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우리은행 총 매각 물량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 48.09% 중 30%다. 현재 투자자 수요 조사 결과 30% 정도를 팔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 입장도 같다.

그는 "구체적으로 투자자가 누구인지 밝힐 수는 없다. 투자자가 공개되면 투자 결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투자자 진입 조건에 국적은 상관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날 금융위원회와 공자위는 예보의 우리은행 지분 30%를 과점주주 방식으로 매각하겠다고 발표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은 주요 주주들이 이사회를 통해 경영에 각자 참여하는 형태다. 경영권 매각과 완전 분산매각의 중간 단계다. 당국은 예보 보유 지분 48.09% 가운데 30%를 4∼8%씩 쪼개 팔기로 했다.

당국은 우리은행 지분 4% 이상을 낙찰받은 투자자에게 사외이사 추천권을 주기로 했다. 과점주주 추천 사외이사는 매각 종결 직후 임시주총을 열어 선임할 계획이다. 사외이사 임기는 2~3년으로 한다.

금융위는 과점주주들이 이사회 및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행장 선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광구 우리은행장의 임기는 올해 12월까지다. 우리은행 매각이 연내 이뤄지지 않을 시 이광구 행장 임기는 연기된다.

윤창현 위원장은 "4% 이상 낙찰 투자자에게 사외이사 추천권을 주는 것은 투자 결정을 두고 애매한 상황에 있는 투자자들을 끌어들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자위는 지분 30% 매각 후 즉시 예보와 우리은행이 체결한 경영정상화이행약정(MOU)을 해지하겠다고 밝혔다. 윤 위원장은 "새롭게 형성된 과점주주가 주도적으로 경영에 참여해 수익을 창출하는 등 실질적 민영화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우리은행의 매각 예정가격을 밝히지 않았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예정가격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공적자금 회수 기준 주가 1만3000원은 절대적 지표가 아니다"고 밝혔다.

윤창현 위원장은 예정가격 이상의 입찰 물량이 30%가 안되면 추후 매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낙찰자 선정은 원칙적으로 희망수량경쟁입찰 방식에 따라 입찰가격 순으로 결정한다. 금융위는 사외이사 추천권 요인을 고려해 비가격 요소도 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윤창현 위원장은 "이번 과점주주 매각안은 경영권 매각과 소수지분 매각의 중간적 성격이다. 사외이사 추천권이 있다. 비가격 요소를 평가에 반영할 것"이라며 "비가격 요소의 기준은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예보가 가진 나머지 20% 매각 계획에 대해선 아직 결정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다음 달 23일까지 투자의향서(LOI)를 접수한다. 11월중 입찰을 마감하고 낙찰자를 선정하기로 했다. 12월까지 주식 양수도 및 대급 납부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우리은행 매각안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한 금융업계 연구원은 "우리은행 지분 4%를 사는데 3000억원 가량이 들지만 그 이득은 크지 않다. 사외이사 추천권을 준다하지만 그 영향력은 작다"며 "단기 차익을 노리는 사모펀드라고 해도 이번 정부안은 매력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과점주주안과 사실상 달라진 것이 없다"며 "유럽과 중동지역의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장기 투자자를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