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 기업수로는 CJ가 42개로 가장 많아

10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국내 그룹 중 지난 2010년 이후 M&A 금액이 가장 컸다. / 사진=뉴스1

 

국내 30대 그룹이 2010년부터 지난 7월 말까지 6년반동안 경영권을 인수한 M&A는 총 272건, 46조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액별로는 롯데가 9조 7000억원을 넘겨 1위를 차지했고, 건수로는 42개 기업을 인수한 CJ가 가장 활발했다.

10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올해 7월 말까지 30대 그룹의 M&A 규모는 272건에 46조7473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경영권을 완전히 인수하고 사업 보고서상 인수 금액이 최종 확인된 사례만 포함했고 M&A 금액은 계열 편입 시점까지 투자된 비용을 기준으로 했다. 

국내 M&A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가 회복되던 2010년으로 52건에 총 9조4천억원 규모였다. 이후 2011년 7조원(49건), 2012년 9조2000억원(41건) 등으로 활발했다. 하지만 경기침체가 시작된 2013년 8000억원(31건)으로 급감한후 2014년 2조6000억원(29건), 지난해 4조2000억원(27건)으로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지난 7월 말까지 7조원(17건) 규모가 성사돼 지난해 총금액보다 66%나 증가했다. 

그룹별로는 롯데가 가장 왕성했다.  2010년 이후 28개 기업을 인수하며 총 9조7583억원을 썼다. 경영권 분쟁이 진행 중인 올해에도 3건, 총 2조8000억원 규모의 M&A를 성사시켰다. 롯데는 2010년 말레이시아 석유화학업체인 타이탄(1조 5223억원), 2012년 하이마트(1조2480억원), 올해 3월과 6월에는 각각 삼성정밀화학(4650억원), SDI케미칼(2조3265억원)을 사들였다. 지난해 5월에는 뉴욕팰리스호텔(9475억원), 9월에는 삼성BP화학과 KT렌탈을 각각 819억원과 5056억원에 인수했다. 

롯데 다음은 4개 회사를 5조5419억 원에 사들인 현대자동차그룹이었다. 현대차는 2011년 현대건설(4조9600억원), 2012년 현대라이프생명(옛 녹십자생명, 2391억원), 지난해 현대종합특수강(2943억원), 올해 GIT(485억원)를 사들였다. 3위는 10개 회사를 4조8999억원에 사들인 포스코였다. 포스코는 이명박정권 당시였던 2010년 성진지오텍(1598억원)·대우인터내셔널(3조3724억원)을 시작으로 2012년까지 매년 2~3개 회사를 사들였다. 하지만 정권 교체 후인 2014년 포스파워(옛 동양파워. 4841억원)를 인수한 것 이외에는 M&A가 거의 중단된 상태다. 이밖에 SK그룹 4조4657억원(18개사), 한화그룹이 3조5733억원(11개사), 현대중공업이 3조871억원(5개사)의 M&A를 단행해 뒤를 따랐다.

재계 1위인 삼성은 M&A에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았다. 삼성은 2011년 메디슨(4450억원), 2014년 서울레이크사이드 골프장(3500억원) 외엔 굵직한 기업 인수가 없었다. 다만 최근 피아트 부품사인 마그네티마렐리를 30억달러(약 3조3540억원)에 인수하는 작업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건수 기준으로는 CJ그룹이 42개 회사를 인수해 1위를 기록했다. 금액으로도 3조2822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2013년 이재현 회장 구속 이후 M&A가 급격히 둔화하고 있다. 지난해엔 1건(10억원)에 불과했다. CJ를 이어 롯데가 28개사, LG그룹이 25개사를 각각 인수하며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