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와 장소 가리지 않는 특성 때문에 휴가지서 이용 많아

G마켓 조사결과 휴가가 집중되는 7월말에서 8월초에 모바일 쇼핑 이용고객도 평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이베이코리아

 

7월말에서 8월초에 모바일 쇼핑 비중이 평소보다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방학과 휴가기간이 겹쳤고 폭염도 극성을 부리면서 때와 장소 관계없이 주문할 수 있는 모바일 쇼핑이 인기를 끈 것으로 풀이된다.

9일 G마켓에 따르면 최근 2주간(7월25일~8월7일) 매출에서 모바일 비중이 품목별로 최대 86%에 달했다.

이 기간 중 모바일 비중이 높았던 품목 중 상품군은 주로 유‧아동 관련 제품이었다. 아동 신발/잡화 상품군의 경우 모바일 매출이 86%에 달했다. 또 유아동의류(84%), 기저귀/분유(81%), 육아용품(79%)도 높은 모바일 비중을 나타냈다.

여성의류(81%), 언더웨어(77%), 수입명품(76%) 등 여성고객이 많이 찾는 패션뷰티 상품군도 모바일 비중이 높았다. 이밖에 아이스크림, 치킨, 피자 등 e쿠폰도 전체 매출액 중 모바일 비중이 72%에 달했다.

식품군도 모바일 비중이 높은 품목군으로 꼽혔다. 신선식품과 가공식품은 각각 67%, 64%가 모바일로 판매됐다. 제품 가격대가 높아 모바일 비중이 낮았던 계절가전(53%)도 무더위 특수를 누리며 모바일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 특히 이동식 에어컨, 창문형 에어컨은 이 기간 동안 모바일 매출이 한 달 전보다 5배 이상(463%) 급증했다. 벽걸이 에어컨과 스탠드 에어컨도 각각 202%, 263% 등 3배 이상 늘었다.

이에 따라 최근 2주간 전체 G마켓 전체의 모바일 매출 비중도 56%를 기록하며 평소보다 높게 나타났다. 6월 말 같은 기간(6월20일~7월3일)에는 52%였다.

남성헌 G마켓 마케팅실장은 “여름방학과 직장인들의 휴가기간이 겹치는 극성수기 7월말과 8월초에는 때와 장소에 제약이 없는 모바일 이용 고객이 많다”며 “흥미로운 것은 집을 떠난 휴가지에서도 이용자가 생길만큼 모바일쇼핑은 우리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