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 협력 업체 중국에 추격 당해, 대우조선해양 정상기업 평가 받아 논란
기업 대상 신용위험평가 결과 조선, 해운 업종 외에도 5개 전자업체가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난을 겪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은 B등급 정상기업으로 선정돼 논란도 일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7일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대한 사후관리 계획을 짜기로 했다고 밝혔다.
신용위험 평가는 기업 부실이 한꺼번에 발생하지 않도록 부채가 일정 규모 이상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회생 가능성이 있는 지를 선별하는 것이다. 금융당국과 외부 평가기관들은 매년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용위험 평가를 실시한다.
채권은행들은 4월부터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 1973개사 중 602개사를 상대로 재무구조 세부평가를 벌였다. 이번 평가과정은 정부가 내놓은 '구조조정 3트랙 구조조정 중 2단계에 속한다. 3단계는 1단계 경기민감업종 평가와 2단계 부실징후기업 상시구조조정, 3단계 공급과잉업종 구조조정으로 구성된다.
조사 중 핵심인 금감원 신용위험평가는 기업을 A부터 D까지 4개 등급으로 나눈다. C등급을 받은 기업은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D등급을 받은 기업은 법정관리 대상이 된다. C, D등급 대상 기업들은 즉시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해야 한다.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채권금융기관들이 여신 회수 등 불이익을 줄 수 있다.
◇ 전자업종도 중국에 추격, 글로벌 기업 협력사들 위기
업종별 평가결과를 보면 전자업종이 부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평가에선 전자업종 5곳이 D등급을 받아 법정관리 대상에 포함됐다. 이는 각각 6 곳이 선정된 조선·건설에 이어 세 번째다.
전자업종 기업 5곳은 주로 세계적인 완성품 제조업체에 부품을 납품하는 1차 협력사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까지 전자업은 채권은행 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단 한 곳도 없었다. 하지만 작년부터 재무구조가 나빠진 기업이 급증하고 있다. 2015년엔 총 8개 대기업이 대상으로 분류돼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금감원은 앞으로 전자업종에 대해서도 밀착 조사를 할 계획을 세웠다. 정부는 조선·해운·철강·석유화학·건설 등 5개 업종을 경기민감 업종으로 지정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중장기 대책을 마련하는 등 특별 관리하고 있지만, 전자업종은 중점 관리대상이 아니다.
장복섭 금감원 신용감독국장은 "삼성전자, 하이닉스, LG전자 등 글로벌 기업을 제외하고 전자업종을 산업분석 해보면 중국의 추격 등으로 업황이 썩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 대우조선 해양 B등급 논란...청와대 의중 작용했나
한편 대형 조선 3사가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B등급으로 정상 기업 평가를 받은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아직 정상 기업이다. 그러나 대우조선해양은 재무구조가 악화하는 중이라 B등급 판정을 두고 납득하지 어렵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은 1조원 규모 자금이 묶인 해양플랜트 인도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다음달 4000억원의 기업어음(CP) 만기도 돌아와 유동성 위기가 올 가능성도 있다.
금융당국은 이들 기업의 경우 주채권은행들이 자구계획을 개별적으로 제출했다면서 별도 구조조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대우조선해양이 다가올 자금난을 해결하지 못하면 법정관리로 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청와대 서별관회의 안건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대우조선해양이 법정관리로 전환될 경우 추가 손실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정관리 대신 4조 2000억원 규모의 정상화 자금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신용위험평가에서도 채권단인 산업은행 등이 기존 정책 기조를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장복섭 금감원 신용감독국장은 "조선 빅3는 이번 평가와 별도로 주채권은행 요청으로 각자 자구계획을 만들어 이행 중에 있다"면서 "채권은행 평가 결과 부실 위험 가능성은 있지만 자구계획 수립과 대주주의 의지, 산업 정책적 판단을 종합해 B등급으로 분류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