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수출 타격 불가피…업계 초비상
국내 철강재 산업에 초대형 악재가 터졌다. 미국이 포스코 열연강판에 61%에 달하는 ‘관세 폭탄’을 투하했기 때문이다. 관세율이 그대로 반영되면 당장 대미수출 타격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국내 업계에는 초비상이 걸렸다.
5일(현지시간) 미국 현지 보도에 따르면 상무부는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체들이 수출하는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상계(相計) 관세율을 최종 판정했다.
이에 따르면 포스코의 경우 반덤핑 관세율 3.89%, 상계 관세율 57.04% 등 관세율이 총 60.93%에 달한다. 또 현대제철에는 반덤핑 9.49%, 상계 3.89% 등 총 13.38%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자동차와 가전 등의 기초 재료로 쓰이는 열연강판은 그동안 무관세가 적용됐다. 관세율이 그대로 반영되면 가격경쟁력을 크게 잃을 가능성이 높다. 국내업체의 대미 열연강판 수출규모는 5억~7억 달러다.
최종판정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가 내린다. USITC는 미국 국내 철강업체들의 피해 여부를 판단해 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국내 철강업계에는 초비상이 걸렸다. 국내 업체들은 이번 판정이 나기 전부터 관세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뒀었다. 다만 40~50% 내외로 결정되리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이번 미국 상무부의 판정이 관세 폭탄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까닭이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21일 한국산 냉연강판에 대해서도 최대 65%의 반덤핑·상계 관세 예비판정을 내렸었다. 또 같은 날 USITC는 한국산 내부식성 철강제품(도금판재류)에 대해서도 최대 48%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하기로 판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