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너지 효과 낼 수 있지만 M&A 표적될 수도"

국내 상장사 중 일본 자본이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기업이 43곳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자본은 국내 자동차와 전자 부품 제조 업종에 다수 진출해 있다. 

3일 한국2만기업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에 적을 두고 있는 법인이나 개인이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국내 기업은 43개사(코스피 21개사, 코스닥 22개사)였다.

43개사 중 일본 주주가 지분 50% 이상을 보유한 곳은 6곳이었다. 20~50% 미만 지분을 보유한 기업은 9곳, 10~20% 미만 12곳, 10% 미만은 16곳이었다.

일본 자본이 보유한 이들 기업의 주식평가액 가치(8월 1일 기준)는 총 2조 2704억원이었다. NTT도코모는 KT 지분 5.46%를 보유해 지분 가치가 4648억원에 달하고 있다. 

태평양시멘트는 쌍용양회 최대주주로 보유 지분 가치가 4106억원이었다. 이외에도 BNK금융지주(롯데, 2760억 원), 티씨케이(도카이카본, 1512억원), 기신정기(후다바전자공업, 1027억원) 순으로 지분 가치가 컸다. 

국내 상장사에 5% 이상 지분을 가진 일본 주주의 지분 가치가 1000억원 이상 되는 곳은 6곳, 500억~1000억 원 미만은 4곳으로 나타났다. 43곳 중 33곳은 500억원 미만이었다. 

43개 기업 중 일본 자본이 최대주주로 활동한 곳은 13곳이었다. 새론오토모티브(최대주주 닛신보 홀딩스), 기신정기, 대동전자(강정우), 모아텍(미네베아), 에스씨디(일본전산산교), 에스텍(포스타전기), 티씨케이(도카이카본), 삼아알미늄(도요알미늄), 코리아에스이(SE), 유니슨(도시바코퍼레이션), 쌍용양회, 에너토크(서부전기)가 여기에 포함됐다.

일본 자본이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 중 매출액이 가장 큰 회사는 쌍용양회였다. 과거 쌍용그룹 핵심 계열사였던 쌍용양회는 지난 2000년 10월에 일본 기업 태평양시멘트에 경영권이 넘어갔다. 쌍용양회의 지난해 매출액은 1조 4161억원이었다.

스미토모상사, NTT도코모, 미네베아는 국내 상장사 2곳 이상의 지분을 5% 이상 보유하고 있었다. 스미토모상사는 경인양행(9.78%)·동방아그로(18.32%), NTT도코모는 KT(5.46%)·알서포트(15.4%), 미네베아는 KJ프리텍(7.75%)·모아텍(최대주주) 지분을 보유했다.

43개사 업종에는 자동차 및 전자 제품 부품사가 비교적 많았다. 자동차 업종에는 금호에이치티(도시바라이팅앤테크놀로지), 화진(디아이씨), 새론오토모티브, 전자 부품 제조사로는 모아텍과 마이크로컨텍솔(쿄에이코리미티드)이 이름을 올렸다. 

오일선 한국2만기업연구소장은 이번 조사에 대해 "우리나라와 일본 기업은 상당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부분도 있다"면서 "하지만 우리나라 제조사 중 기술력은 뛰어나지만 자본이 약한 자동차 및 전자 부품 회사를 중심으로 일본 자본 유입이 많다는 것은 인수합병(M&A) 표적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점에서는 양날의 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