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순위 청약 마감 단지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10%p 이상 줄어
지방 분양시장이 조정국면에 접어들었다. 지난해 같은기간 최대 300대 1의 청약율을 웃돌던 것과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과잉공급 논란과 중도금 집단대출 규제 등의 악재로 시장이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움직임이 단기 추세가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9일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 분양한 51개 단지 중 1순위에서 마감한 곳은 39%에 불과했다.
서울·수도권 27곳, 지방은 24개 단지 가운데 20개 단지만이 1순위 청약 마감에 성공했다. 비율로 보면 분양시장 열기가 뜨거웠던 지난해 7월 공급한 70개 단지 가운데 28개 단지(약 40%)가 1순위 청약에 성공한 것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와는 사정이 다르다. 서울·수도권의 경우 지난해보다 1순위 마감 단지 비율이 증가한 반면, 지방은 1순위 청약마감한 단지 비율이 줄어들어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달 서울·수도권에 분양한 27개 단지 가운데 11개 단지, 약 41%가 1순위 청약에 성공했다. 지난해 같은기간에는 33개 분양단지 가운데 10개 단지가 1순위 청약마감을 기록하면서 1순위 마감 단지는 전체의 약 30%에 불과했다. 서울·수도권 청약시장은 지난해 보다 열기가 더해졌다.
반면 지방 분양시장은 침체하고 있다. 지방은 이달 분양한 24개 단지 가운데 9개 단지만이 1순위 청약마감됐다. 비율로는 공급 단지 대비 38%에 달하는 것으로 지난해(49%)와 비교해 1순위 마감 단지 비율이 11%p 하락했다. 특히 지난해 수백대 1의 청약경쟁률을 보이던 부산, 대구 지역은 여전히 여타 지방권 단지에 비해 청약률은 높지만 간신히 1순위 마감에 성공하는 등 청약거품이 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방 분양시장은 조정 국면에 들어선 것이라며 이같은 현상이 중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한다. 이미윤 부동산114 선임연구원은 “부산과 대구 등 주요시장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초기계약률 등 지표가 지난해 보다 떨어지고 있고 중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투자자들이 몰리는 지역과 일부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에서는 개별적으로 상승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해 외지인들이 대구에 투자하면서 청약열기가 뜨거웠는데 최근에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지역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같은 지역과 강원도 원주 등과 같은 교통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은 전반적인 움직임과 달리 상승세를 탈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