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업계 "영향 없다"…기준 변경 불구 국내 배터리 업계 주가 변동 미미
중국 정부가 보조금 지급이 가능한 삼원계(니켈카드뮴망간·NCM)배터리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내놓는다. 삼원계배터리는 국내 업체가 생산하는 제품으로 1월 중국 정부가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한 이후 이 제품에 대한 보조금이 끊어졌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업계는 이번 중국 정부의 발표가 국내 전기차 배터리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가 삼원계배터리에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보조금 지급 여부를 심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원계배터리는 니켈, 카드뮴, 망간으로 만드는 제품으로 삼성SDI, LG화학 등 국내 배터리 제조사가 생산한다. 품질이 우수한 반면 가격은 상대적으로 비싸다.
중국 정부가 삼원계배터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따른 새로운 기준을 정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돼 국내 업계에 불이익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새 기준이 나오기 전까지 국내 업체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버스에는 정부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버스 가격의 최대 80%까지 정부 보조금이 지급되기 때문에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배터리업체는 사실상 시장 경쟁력이 없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발표가 기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관련 소식이 나간 후 국내 배터리사 주가가 떨어지지 않았다”며 “이는 국내 업체의 삼원계배터리가 보조금을 받지 못할 것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이미 반영돼 있었음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기버스의 경우 보조금 혜택을 받는다고 삼원계배터리가 기존 리튬인산철(LFP)배터리를 대체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전기버스에 고품질 배터리가 들어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한 리튬인산철배터리의 시장 경쟁력이 더 우수하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도 중국 정부 발표가 큰 영향이 없을 것이란 설명이다. LG화학 관계자는 “이번 중국 정부의 발표를 환영한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정해질 것이기 때문에 마냥 기다릴 필요가 없어졌다”며 “회사는 하던 대로 준비할 것이다. 이와 함께 올해 하반기로 예정된 5차 규범조건 통과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SDI 고위 관계자도 “기존 중국이 추진하던 정책과 별반 다를 바 없다”며 “중요한 건 삼성SDI가 하반기에 5차 규범조건 통과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초부터 중국에서 삼원계배터리 보조금 지급 여부 이슈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홍콩에서 삼원계배터리를 탑재한 전기버스에 화재 사고가 발생하자 중국 정부는 1월 LG화학과 삼성SDI가 생산하는 삼원계배터리의 안전성을 문제 삼았다. 이후 삼원계배터리를 탑재한 전기버스에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