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A 협상 대응 민관 대책회의 개최…국내 기업 경쟁력 고려 최적의 협상 대응방안 모색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해 환경상품 교역활성화를 추구하는 세계무역기구(WTO) 환경상품협정(EGA) 협상이 올해 안에 타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와 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대응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5일부터 29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제15차 EGA 실무협상을 앞두고 대응전략 점검을 위해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전력 남서울지역본부에서 EGA 협상 대응 민관 대책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EGA 협상 참여 10개국은 지난 9일부터 이틀간 중국 상해에서 개최한 20개국(G20) 통상장관회의에서 9월 G20 정상회의까지 합의점을 도출하고, 올해 말 EGA 장관회의에서 최종 타결을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등 환경편익이 분명한 품목을 최종 목록에 반영하면서, 우리 기업 경쟁력 등이 고려될 수 있는 최적의 협상 대응방안을 정립하기 위해 의견을 교환했다.
현재 17개 WTO 회원국이 참가하고 있는 EGA 협상은 그간 14차례 협상을 통해 논의 대상을 340여개 품목으로 축소했다. 이번 15차 협상에서 품목은 보다 축소할 예정으로, 각국의 이해를 반영하기 위한 치열한 논의가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민철 산업부 통상협력심의관은 “지난해 파리협정 채택 이후,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EGA 협상에 대한 국제사회 기대가 크다”며 “시대적 요구와 환경상품 분야의 글로벌 시장 잠재력을 고려할 때, EGA 협상을 새로운 시장 개척과 경쟁력 향상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범용제품에 대해선 환경기여도가 높은 제품으로 한정해 시장을 개방하고, 중소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민감성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협상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