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P기술·파이어베이스 소개
구글이 한국 개발자들과 협업을 기대하며 개발자들의 편의를 고려한 신기술 소개에 적극 나섰다.
첫 연사로 나선 마크 베넷 구글플레이 디렉터는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19일 개최된 구글 포 모바일 행사(Google for Mobile)에서 “한국은 구글에 중요한 시장이다. 한국의 뛰어난 개발자가 세계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구글이 적극 돕겠다”며 “한국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싶다. 한국 개발자와의 협업을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 구글이 한국 개발자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 사례에 대해서 설명했다. 베넷 디렉터는 “한국개발자가 사업을 성장시킬 수 있도록 구글이 구글캠퍼스서울을 통해 돕고 있다”며 ”구글캠퍼스서울에서 개발자·창업자 교육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에서 개발한 컨텐츠가 해외에 진출하는 것도 돕고 있다”며 “구글플레이를 통해 넷마블 세븐나이츠는 해외로 진출해 대만, 태국, 일본 등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 연사자 벤 갈브레이스 상품관리(product management)디렉터는 구글이 지난 5월 개최한 구글 개발자컨퍼런스 구글 I/O에서 다뤘던 기술을 소개했다.
먼저 벤 갈브레이스 디렉터는 모바일 웹페이지 관련 기술을 선보였다. 그는 “스크롤을 내려도 갑자기 화면이 멈추거나 떨리지 않도록 기능을 개선했다. 페이지를 눌렀을 때 로딩이 즉각적으로 되는 AMP기술을 개발했다”며 “이 기술을 통해 웹 페이지 구동 속도가 4배 빨라졌다”고 말했다.
파이어베이스(FireBase)도 소개했다. 파이어베이스는 데이터를 여러 기기에서 쉽게 통합해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다. 갈브레이스 디렉터는 “새로운 파이어베이스는 데이터 집합의 활용뿐만 아니라 개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발도구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그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2,2, doze mode기술(전력소모를 적게 하는 기술) 등을 소개했다.
한편 구글 포 모바일 행사는 구글의 최신 기술과 개발 도구 등을 소개하는 한국 버전의 '구글 I/O' 행사다. 구글은 이 행사에서 개발·성장·수익창출 등을 주제로 한국 개발자들을 위해 30여 개 강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