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서 해수담수화필터 수주, NASA서 리튬이온배터리 공급

 

LG화학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우주복에 들어가는 리튬이온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17일 밝혔다. / 사진=LG화학

 

LG화학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지정하고 투자 중인 리튬이온배터리사업과 물사업에서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LG화학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우주복에 들어가는 리튬이온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17일 밝혔다. 리튬이온배터리는 2차전지의 한 종류로 충전 후 재사용이 가능한 배터리다. 최근 친환경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LG화학은 올해 하반기부터 배터리를 NASA에 공급한다. 이 배터리는 산소 공급 장비, 통신장비, 방사능 측정 장비 등 생명과 직결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기존에 NASA는 일본산 은아연(Silver-Zinc)배터리를 사용했다. 하지만 은아연배터리의 높은 가격과 짧은 수명 탓에 리튬이온배터리로 전환을 결정했다. 이후 NASA는 주요 리튬이온배터리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테스트를 실시했다.

LG화학 관계자는 “NASA의 배터리 안정성 테스트는 매우 엄격하다”며 “LG화학 배터리가 일본 및 국내 다수 업체 제품 중 가장 좋은 성적으로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설명했다. LG화학 리튬이온배터리는 NASA가 기존에 사용하던 은아연배터리보다 수명이 5배 이상 길고 가격 경쟁력도 뛰어나다.

LG화학은 이번 계약으로 전기차, 전기선박, 무인항공기(드론) 등 육··공에 이어 우주 배터리 시장까지 영역을 넓혔다.


LG화학 리튬이온배터리는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LG화학은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GM, 포드, 아우디 등 주요 완성차 업체 20개 이상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네비건트리서치와 B3에 따르면 LG화학은 전기차 배터리 세계 시장 경쟁력 1위 업체다.

지난해 6월에는 노르웨이 조선사 아이데스빅(Eidesvik)이 건조한 친환경 선박에 배터리를 공급하면서 전기선박 시장에 진출했다. 중국 샤오미 등 드론 업체들도 플래그십 모델에 LG화학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와 함께 LG화학이 신성장 동력으로 삼은 물산업도 최근 대규모 수주로 기술력을 증명했다. 지난달 LG화학은 중동 오만에서 역삼투압(RO·​Reverse Osmosis) 수처리필터 2만개를 수주했다. 이는 하루 담수 25만톤을 80만명에게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LG화학 관계자는 “페르시아만 지역은 염분 농도와 수온이 높아 고성능 필터가 필요한데 이번 수주로 기술력을 인정받은 셈”이라며 “아랍에미리트, 이란 등 다른 중동 국가에서 추가 수주에도 청신호가 켜졌다”고 말했다.

박진수 LG화학 부회장은 3월 기자간담회에서 “LG화학 미래 먹을거리는 에너지··바이오”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