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 지출은 전체 양육비의 51.1%
두 자녀 가정은 한 달 양육비로 약 128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 아이가 2명인 기혼여성(15~49세) 61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에 따르면 두 자녀 가정의 월평균 양육비는 교육비, 돌봄비용, 기타(의복·장난감 등) 비용을 포함해 128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도시 가정은 양육비로 월 138만3000원을 지출했다. 중소도시(126만원)나 읍면동 규모 농촌(106만5000원)보다 양육비 지출이 더 컸다.
가구 소득별 양육비 격차도 컸다. 지난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427만원을 기준으로 가구소득이 평균의 60% 미만인 구간부터, 60~80%, 80~100%, 100~120%, 120~140%, 160% 이상 등으로 소득 구간을 구분한 결과 소득이 가장 낮은 구간의 양육비는 65만7000원으로 소득이 가장 높은 구간의 양육비(203만원)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교육비가 전체 양육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이상이었다. 두자녀 가구가 공교육(22만4000원)·사교육(43만3000원)에 투자하는 비용은 월평균 65만7000원에 달했다. 이 비용은 전체 양육비의 51.1%에 해당한다.
사교육비 차이는 소득 구간에 따라 최대 5배 이상 차이가 났다. 소득이 가장 낮은 구간(평균 소득의 60% 이하)은 자녀 2명에게 공교육 10만6000원, 사교육 15만8000원을 들여 총 26만4000원을 교육비로 지출했다.
소득이 평균의 160% 이상인 2자녀 가구는 공교육비로 34만2000원을, 사교육비로 80만4000원을 각각 투입했다.
종합해보면 소득이 가장 높은 구간의 전체 교육비 지출은 가장 낮은 구간 평균 교육비의 4.3배였다. 두 구간의 사교육비 차이는 5.1배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