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입지상 최적의 부지"…범군민궐기대회 주민 5000명 몰려

사드 배치에 항의하며 상경한 경북 성주군민들과 김항곤 군수가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센터 앞에서 황인무 국방부 차관을 만나기 전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사진=뉴스1

 

한국과 미국 군 당국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경북 성주군에 배치하겠다고 13일 밝혔다.

 

류제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한미 공동실무단이 사드 체계의 군사적 효용성과 지역 주민의 안전 등을 고려했을 때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지역이 최적의 사드 배치 부지로 꼽혔다”며 “한미 양국 국방부 장관이 이를 승인했다”고 말했다. 

 

류 실장은 “주한미군의 사드 체계를 성주 지역에서 운용하게 될 경우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 영토의 절반 이상을 방비할 수 있다”며 “우리 국민의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사드 배치로 원자력 발전소, 저유시설 등과 같은 국가 중요시설 방어 능력과 태세를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드의 최대 요격 거리는 200㎞다. 성주 지역 배치를 통해 미군기지가 있는 평택과 군산, 육·해·공군본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 등 군사적 요충지를 방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북한의 300㎜ 신형 방사포 타격권에서 벗어나 있고, 행정구역상 동해안 위쪽에 위치해 중국을 덜 자극하는 최적의 부지로 평가됐다. 군 당국은 내년 말 한반도에서 사드를 실전 운용할 계획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사드 성주군 배치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불가피한 결정이겠지만 성주군민과 경북도민들은 그 결정 과정과 절차 면에서 납득하기 어려워 유감이라고 말했다.

 

김 도지사는 성주군민들의 이해와 동의를 구하기 위해 긴밀히 협의하는 데 각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한편, 이날 오전 성주 지역에서 열린 사드 성주 배치 반대 범군민궐기대회에는 5000명의 군민이 운집해 사드 배치에 대해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