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금융개혁 대표주자 육성 의지…시중은행들은 “틈새시장 개척 수준 머물 것”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6일 오전 경기 판교 H빌딩에서 열린 '인터넷전문은행 현장간담회'에서 "금융당국과 유관기관은 인터넷전문은행이 금융개혁 대표주자로 성공적으로 출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은행법까지 개정해 인터넷 전문은행의 적극 진출을 돕겠다는 임 위원장의 언급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들은 인터넷 전문은행 영향력이 “틈새시장 개척 수준일 것”이라는 반응이다. 이미 중금리 대출 시장과 모바일 뱅킹 등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 이전에 전력을 확보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금리 대출·모바일 뱅크 이미 레드오션
인터넷전문은행의 주요 사업모델 중 하나는 중금리 대출 시장이었다. 하지만 시중은행, 저축은행, P2P금융이 중금리 시장을 선점한 상태다. 임 위원장이 6일 간담회에서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으로 은행뿐 아니라 저축은행도 중금리대출 상품을 자율적으로 출시하는 등 건전한 경쟁을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정작 인터넷 전문은행의 주력 사업 모델로 꼽히던 중금리 시장 진출이 “이미 김 샌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인터넷전문은행 측은 문제될 게 없다는 반응이다. 정순영 카카오뱅크 준비법인 차장은 “중금리 대출 시장에 진출하겠지만 카카오뱅크의 주력 상품이 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차장은 “중금리 대출이 많이 상용화됐지만 신용대출 중 하나에 불과하다”며 “인터넷 전문은행은 중금리 대출 상품만 전력할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동우 케이뱅크 준비법인 차장은 “아직 본인가를 신청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상품은 논의를 거치는 중”이라며 “금리 산출을 해보지 않았지만 인터넷 전문은행만의 스코어링 시스템을 만들고 역량을 집중한다면 충분히 시장을 파고들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한은행 써니뱅크, 우리은행 위비뱅크, KEB하나은행 원큐(1Q)뱅크가 중금리 대출 활로를 개척했고 사잇돌 대출로 중금리 시장 진출에 탄력이 생겼다”고 말했다. 또한 “모바일 뱅크를 이용한 환전·결제 등 비대면 채널을 강화했기 때문에 인터넷 전문은행이 위협이 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임종룡 “청년 일자리 창출”현재까지 200여명 수준
임 위원장은 6일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인터넷전문은행 도입배경을 설명하며 “청년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 위원장이 언급했듯 은행설립 과정에서 현재까지 공개 채용된 인원은 총 200여명 수준이다. 금융위 발표에 따르면 6월말 현재 카카오 뱅크는 117명, 케이뱅크는 83명을 채용했다. 카카오 뱅크는 총 90여명, 케이뱅크는 총100~120여명을 수시로 공개 채용할 방침이다. 이를 두고 앞으로 채용 숫자가 꾸준히 큰 폭으로 늘 수 있을 지는 의문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전문은행의 특징인 오프라인 점포가 없다는 점, 모든 과정이 전산 시스템을 기반으로 돌아간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이에 대해 이인욱 금융위 사무관은 “하반기 중 210여명을 추가 채용할 예정이고 2017년은 사업 계획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몇 명을 더 채용할지는 예정되지 않았다”면서 “은행쪽 일자리에 대한 수요가 큰 상황에서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움을 준다는 의미로 일자리 창출을 설명한 것이지 대형은행처럼 큰 폭으로 뽑겠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말했다. 또한 “IT 업계와 협업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간접 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중은행 관계자 ·전문가 인터넷은행 성공 “갸우뚱”
케이뱅크는 8~9월, 카카오뱅크는 11~12월 본인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시중은행들은 인터넷전문은행이 “저축은행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까지 모바일을 사용하지 않는 금융 소비자가 많아 제한적 시장에 머물 것”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상품 종류의 다양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관계자는 “인터넷 전문은행들은 금융봇 등 다양한 상품, 색다른 서비스 출시를 앞두고 있지만 기존 은행들과 얼마나 차별성이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고객들이 은행을 옮기는 기준으로 “낮은 금리, 대출 가능성”을 꼽으며 “인터넷 전문은행이 이를 어떤 식으로 극복할지 두고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