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반도체·기초화학제품 수출 늘어 지수상승 견인
5월 수출물량지수가 상승했다. 자동차, 일반기계 수출량은 줄었지만 화장품, 반도체 등에서 수출량이 늘면서 전체 수출물량 증가를 견인했다. 다만 수출금액은 저유가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16년 5월 중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물량지수 잠정치는 136.48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보다 5.8% 올랐다. 지난달과 비교하면 1% 상승했다.
수출물량지수는 지난해 12월 마이너스로 전환한 후 1월까지 하락세를 유지했다. 지난 2~3월에는 상승세를 보이다 지난 4월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창헌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 과장은 수출물량지수가 한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한 데 대해 "화장품과 기초화학제품, 반도체 등의 수출이 늘었던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수출물량지수에서 화학제품은 1년 전보다 23.6% 올랐다. 농림수산품(21.4%), 금속제품(16.6%), 전기·전자기기(5.2%) 등도 각각 올랐다. 전기·전자기기는 지난 4월(-1.3%)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가 한 달 만에 5.2% 상승으로 바뀌었다.
반면 자동차 등 수송장비(-6.1%), 일반기계(-3.6) 등은 수출물량이 감소했다. 승용차 수출물량은 지난해 10월 3% 증가한 뒤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난달 수출금액지수는 108.27로 지난해 5월보다 5.4% 떨어졌다. 저유가의 영향으로 석탄·석유제품이 25.8% 하락했다. 전기·전자기기(-9.3%), 수송장비(-5.9%), 일반기계(-4.3%)도 낮아졌다.
지난달 수입물량지수는 117.06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보다 2.2% 올랐다. 광산품(-7.0%), 일반기계(-7.0%) 등의 수입물량이 줄었으나 석탄 및 석유제품(18.1%), 화학제품(6.7%), 수송장비(15.0%) 등의 수입량이 늘어 전체 수입물량이 늘어났다.
수입금액지수는 91.28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6% 떨어졌다. 광산품(-36.2%), 석탄 및 석유제품(-19.0%), 일반기계(-5.3%), 1차 금속제품(-5.6%) 등의 하락폭이 컸다.
지난달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상승한 101.73으로 나타났다. 수출가격(-10.6%)보다 수입가격(-11.5%)이 더 크게 내리면서 교역조건이 소폭 개선됐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상품 1단위로 수출한 대금(달러 기준)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다. 지수가 높을수록 수입에 비해 수출이 많다는 의미다.
순상품교역지수에 수출물량지수를 반영한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38.84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떨어졌다. 소득교역조건지수가 138.84라는 것은 2010년 수출총액으로 상품 100개를 수입할 수 있었다면 현재 수출총액으로 상품 138.84개를 살 수 있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