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대상국과 사업 관련 등 본격 착수

미래창조과학부가 협력대상국가의 기후기술 수요와 공공 연구성과에 기반해 30개의 글로벌기후변화대응기술(기후기술) 협력 시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협력국과 사업 관련 협의 등에 착수한다고 12일 밝혔다.

국제사회는 196개 전 당사국이 온실가스 감축목표 제시 및 이행 의무로 규정되는 ‘신기후 체제’ 성공 비결로 ‘기술’을 지목하고 기술보유국들의 혁신적인 기후기술 이전을 강조하고 있다.

미래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기반, 기술지원체제의 국내창구(NDE)로 이 같은 글로벌 기후기술협력 준비해 왔다. 지난 3~5월에 걸쳐 25개 출연(연)과 5개 과기특성화대를 대상으로 협력대상국가들의 기후기술협력 수요를 분석해 제공하고, 기관들이 보유한 기술 등을 토대로 유망 협력 아이템을 조사‧선별했다.

미래부는 조사를 거쳐 바이오매스 자원 이용 기술, 독립형 태양광 발전 기술 등 글로벌 협력 유망기술 15건과 발전소 내 배기가스 저감사업, 고에너지 효율 주택 사업 등 글로벌 협력 유망 사업모델 15건을 선별했다.

앞으로 미래부는 관련 출연(연)과 특성화대를 중심으로 국내외의 사업 파트너 발굴과 녹색기후기금(GCF) 등의 재원 조달 등 성공모델 창출을 위해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또 정부간 협업, 프로젝트와 기업 매칭, 연구자‧기업과 협력대상국가의 정부‧관계자 간 네트워킹 확대 등도 돕는다.

특히 향후 녹색기술센터(KIST GTC) 내 전담팀 구성, 협력 아이템 발굴을 위한 조사대상을 대학‧기업 등까지 확대하고, 지원 예산 확보 등을 통해 제2, 제3의 글로벌 기후기술협력 사업들을 계속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자료=미래부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