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 매립, 가축분뇨 시설과 폐교에 친환경사업 시행한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지난해 강원 춘천시 북방면 소매곡리 소재 친환경 에너지타운 커뮤니티센터 준공식에 참석해 퇴·액비자원화시설에서 생산된 퇴비를 들어보고 있다. / 사진=뉴스1
강원 인제, 충북 음성, 충남 보령, 전북 완주, 제주 등 지역이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 선정됐다. 이들 지역에선 환경기초시설(소각·매립·가축분뇨 등)이나 유휴시설(폐교)에 친환경 사업계획이 시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산업 육성 핵심과제인 친환경에너지타운 2016년 신규사업지 6곳을 선정해 녹색성장위원회에 보고·확정했다.

 

녹색성장위원회는 녹색성장 정책을 심의·조율하는 총리소속 기구다. 녹색성장, 기후, 에너지, 산업 등 민간위원 21명과 기재부 등 17개 부처 장관 등 총 38명으로 구성됐다.

이번에 선정한 친환경에너지 신규사업지는 강원 인제, 충북 음성, 충남 보령, 전북 완주, 제주 등 환경부 소관 5곳과 충남 서산 산업부 소관 1곳으로 구성됐다. 소관부처 주관 하에 각 지자체 별로 사업 기본계획 준비기간을 거쳐 2~3년에 걸쳐 조성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환경기초시설(소각·매립·가축분뇨 등)이나 유휴시설(폐교)에 기반해 각 사업지 실정에 따른 사업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인제군은 기존 폐기물 소각시설을 증설하고(총 78톤/일 = (기존)30톤/일+(증설)48톤/일) 시설에서 발생한 남은 열을 주변시설(펜션 등)에 공급할 계획이다. 시설 운영을 통해 연간 11억3000만원의 주민 수익이 기대된다.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은 환경기초시설 등 님비(NIMBY)시설에 주민수익 개념을 가미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주민 소득을 창출한다. 2014년 시범사업 3개소를 시작으로 지난해 본사업 10개소를 선정했다. 이번에 6개소를 지정해 전체 사업규모가 총 19개소로 확정됐다.

정부는 앞으로 선정 사업지를 대상으로 사업·수익모델을 다각화하고 향후 민간 자율추진의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한국-중국 공동연구, 한국-폴란드 업무협약(MOU) 등을 통해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의 적극적인 해외진출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