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롯데 상장·면세점 특허권 악영향 불가피…신동빈 투명성 강화에도 역행
서울중앙지검 방위사업수사부(박찬호 부장검사)는 정 대표로부터 십억원대 금품을 받은 혐의(배임수재)로 조만간 신 이사장에게 출석을 요구할 방침이다.
현재 검찰 수사는 신 이사장을 정면으로 겨냥하고 있다. 검찰은 면세점 입점 로비 의혹에 더해 최근 신 이사장과 자녀들이 운영하는 회사 세 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검찰은 이들 회사들에 대한 자금 흐름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신 이사장도 변호인을 선임하고 검찰 출석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현재 관련자들의 비협조로 수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관련자들은 참고인 신분임을 내세워 검찰의 출석 요구를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하드디스크를 전부 교체하고 전자문서를 거의 다 지운 것 같다. 연휴 때 출석한 사람도 대부분 수사를 거부했다"며 "(신 이사장) 금주 소환은 어려울 수 있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신 이사장 측 수사 비협조에 대해 "대기업 관련 사건에서 자료를 폐기하고 협조를 안 하는 것은 처음 보는 사례 같다. 압수수색 저항은 몰라도 조직적 폐기와 숨바꼭질은 유례가 없다"면서도 "나름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수사 의지를 드러냈다.
검찰 수사가 확대일로 양상을 보이며 신 이사장이 롯데그룹 계열사 이사직을 계속 지킬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 이사장은 현재 호텔롯데, 롯데쇼핑 등을 비롯한 11개 계열사 이사를 맡고 있다. 롯데는 호텔롯데 상장, 면세점 특허권 심사 등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더해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고로 롯데마트 전현직 임원들이 검찰 수사를 받고 있고 롯데홈쇼핑은 영업정지 처분이 예고된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총수일가로서 그룹에 부담이 되지 않기 위해 신 이사장이 결단을 내리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재계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신동빈 회장으로서도 신 이사장를 안고 갈 경우 호텔롯데 상장과 롯데면세점 특허권 면세점 취득에 악영향이 불가피해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신 회장은 경영권 분쟁 직후부터 그동안 지속적으로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 투명성 강화를 대외적으로 약속했다. 그는 지난해 9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경영구조 개편과 관련해 "친족이니까 자동적으로 높은 지위를 얻는 것은 인정하지 못한다"고 부연한 바 있다.
롯데그룹은 신 이사장 금품 수수 의혹으로 당초 오는 29일로 예정됐던 호텔롯데 상장 일정을 다음 달 중순으로 연기했다. 호텔롯데의 핵심 사업 부분은 롯데면세점과 관련한 비리 의혹이 터진 상황에서 불가피한 조치였다. 롯데면세점은 지난 1분기 기준 호텔롯데 매출의 85%가량을 차지했다.
롯데그룹은 호텔롯데 상장을 지배구조 개선의 핵심으로 보고 있는 상황에서 검찰 수사로 공모가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해졌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일정이 변경되지만 호텔롯데 상장은 그대로 추진된다"며 "검찰 수사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신 이사장 거취에 대해 언급할 말은 없다"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