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조사, 환경 · 일과 삶의 균형 부문은 최하위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발표한 삶의 질 평가에서 조사대상 38개국 중 28위에 머물렀다. 환경, 일과 삶의 균형 부문에서는 최하위였다.
OECD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2016년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BLI)에서 한국은 OECD 34개 회원국을 포함한 조사대상 38개국 중 하위권인 28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2012년(24위)보다 4단계 내려간 순위다.
OECD 더 나은 삶 지수는 주거, 소득,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 11개 부문을 평가해 국가별 삶의 질을 가늠하는 지표다. OECD는 2011년부터 매년 이 지수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환경 부문에서 37위로 이스라엘에 이어 끝에서 두 번째였다. 대기오염은 우리가 꼴찌였고 수질도 중하위권인 26위였다. 한국의 평균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29.1㎍/㎥로 OECD 평균(14.05㎍/㎥)의 2배를 넘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지침(10㎍/㎥)의 3배 수준이다. 반면, 공기가 가장 깨끗한 호주는 5.9㎍/㎥이었다.
일과 삶의 균형 부문에서도 한국은 터키(38위)와 멕시코(37위)에 이어 36위였다. 주당 평균 근무시간이 50시간 이상인 노동자의 비율은 한국(23.1%)이 OECD 평균(13%) 보다 10%포인트 높았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의 척도 가운데 하나다.
시민 간 유대 강도를 뜻하는 공동체 부문(37위)에서도 최하위를 면치 못했다.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친척, 친구 또는 이웃이 있다고 응답한 한국인의 비율은 75.8%로 OECD 평균(88%)보다 12%포인트 낮았다.
한편 한국은 교육(6위), 시민참여(10위)는 상위권에, 주거(17위), 직업(17위), 안전(21위), 소득(24위) 은 중위권에, 삶의 만족(31위), 건강(35위)은 하위권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