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비 부담 호소하는 비율 덩달아 높아져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난해 장애인 가구 주거실태 조사 결과’를 2일 밝혔다. 장애인 가구 주거형태는 ▲자가 58.5% ▲월세 20.2% ▲전세 11.0% 순으로 나타났다. 2009년에 비해 자가와 전세 비율이 각각 1.0%p, 1.8%p 감소한 반면 보증금 있는 월세 비율은 4.0%p 증가했다.
조사대상 가구 중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이 매우 부담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41.5%로 나타났다. 2014년 일반가구 29.8%가 동일한 응답을 냈던 것과 비교하면 11.7%p나 높은 수치다.
국토부 관계자는 “일반 가구와 동일하게 장애인 가구에서도 월세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이같은 상황을 분석했다.
장애인 가구의 평균 가구주 연령은 62.6세로 일반가구 51.4세보다 많고 65세 이상 노인가구 비율도 47.3%로 일반가구(21.2%)에 비해 많았다.
자가점유율은 58.5%로 일반가구 53.6%보다 높았다. 임대가구 중 공공임대 거주비율도 33.8%로 일반가구 11.8%에 비해 22%p 높은 수치를 보였다.
평균 거주기간은 12년으로 일반가구 7.7년보다 길고, 현 주택 거주기간이 2년이 안되는 가구비율은 13.8%로 일반가구 26.5%보다 낮았다.
가장 희망하는 주거환경은 주거비 지출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주택이 58.8%로 과반을 차지했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정책은 기본적인 생활유지를 위한 소득지원이 51.9%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장애인 가구와 장애인 개인의 주거환경과 주거이동, 가구특성과 관련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2009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됐다. 조사는 보건복지부 데이터 베이스(DB)에 수록된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1:1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했다.
자세한 사항은 오늘부터 주거누리(www.hnuri.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