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반형 500억·중심시가지형에 100억 등 지원…대상지 내년 최종 결정

경제기반형과 중심시가지형 후보지 8개 지역 / 자료=서울시

서울시는 2일 서울형 도시재생 활성화 2단계 사업에 참여할 후보지 28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는 주민이 주도해 지역 정체성에 걸맞은 맞춤형 도시재생을 하도록 시에서 4~5년에 걸쳐 최대 100억~500억원의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이들 후보지들은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참여를 동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단계를 거치게 된다. 최종 선정여부는 이후 사업 실현가능성, 추진주체의 역량 등 종합평가를 통해 내년에 최종 가려진다.

선정된 후보지는 유형에 따라 ▲경제기반형 후보지(최대 500억 지원) 1곳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최대 200억원 지원) 후보지 7곳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최대 100억 원지원) 20개소로 분류된다.

최대 500억원의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받는 경제기반형 후보지에는 영등포구가, 최대 200억원을 지원받는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 후보지에는 ▲정동 일대(중구) ▲동묘지역 일대(종로구) ▲마장동 일대(성동구) ▲용산전자상가 일대(용산구) ▲독산동 우시장 부지(금천구) ▲청량리·제기동 일대(동대문구) ▲4.19사거리(강북구) 일대가 선정됐다.

서울시는 ‘경제기반형’과 ‘중심시가지형’ 후보지 총 8개소는 인구감소, 산업이탈, 건축물의 노후화 등 도시재생의 법적 요건에 맞는지를 심사한 후 선정했다고 밝혔다. 높은 기준을 적용하기보다는 기준에 맞지 않는 최소한의 지역을 탈락시키는 쪽으로 심사했다.

서울시는 선정된 후보지에 대해 올 하반기에 공론화 과정을 통해 시민과 지역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재생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최대 100억원의 마중물사업비를 지원받는 ‘근린재생 일반형’ 후보지는 강북구 수유1동 뉴타운·재개발 해제지역 등 20곳이 선정됐다. 선정된 20개 희망지에는 올 하반기 1개소 당 8000만~1억 2000만원이 지원된다. 지자체는 이를 기반으로 주민이 참여해 도시재생사업을 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후보지로 선정되지 않는 지역 역시 별도의 공모를 실시해 10개 내외 지역에 각 1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그동안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참여 기반과 공감대가 부족한 상황에서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이 지정돼 사업이 일부 더디게 진행되는 어려움이 있었다”라며 “후보지 및 희망지 사업을 통해 주민 등 사업 주체들이 충분한 준비기간을 갖게 됨으로써 주민 주도의 서울형 도시재생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