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재직증명서 보낼게요"
#보이스피싱 사기범 A씨는 국민은행 업무지원부 대리를 사칭하며 피해자에게 금리 4% 대출을 안내했다. 시기범은 위조된 신분증과 재직증명서 사진을 피해자 휴대폰으로 전송했다. 이후 대출 보증료(약 700만원)를 사기계좌로 이체하게 한 후 이를 가로챘다. 조사 결과 재직증명서는 가짜였다. 실제 국민은행 문서와도 양식이 달랐다.
#보이스피싱 사기범 B씨는 NH농협은행 대출상담사를 사칭해 피해자에게 사원증 및 대출거래 약정서를 팩스로 보냈다. 이후 대출을 위해서 신용평점을 높여야 한다며 자신이 자금을 입금할테니 이를 현금으로 찾아 다시 돌려달라고 말했다. 피해자는 자신 계좌에 입금된 돈을 찾아 사기범에게 전달했다. 이 돈은 보이스피싱 피해자 돈으로 확인돼 피해자는 대포통장 명의인으로 등록됐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금융회사 재직증명서 등을 위조해 직원을 사칭한 신종 보이스피싱 범죄가 접수됐다고 29일 밝혔다. 금감원은 이에 금융회사에 직원 사칭 보이스피싱에 관한 유의사항을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지토록 조치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사기범은 금융회사 직원임을 믿게 하려고 재직증명서을 위조해 피해자에게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보증료 또는 체크카드를 요구하며 대출을 권유하는 경우 보이스피싱임을 의심하는 사람이 늘어나자 사기범은 본인이 금융회사 직원임을 믿게 하기 위해 재직증명서까지 위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대출 권유 전화를 받는 경우에 금감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해당 금융회사 실제 존재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대출을 권유하는 자가 금융회사 직원 또는 정식 등록된 대출모집인인지 여부를 금융회사에 전화해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범수 금감원 불법금융대응단 팀장은 "보이스피싱 수법이 갈수록 지능화하고 있다"며 "금융소비자 피해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히 피해사례를 전파하고 금융소비자가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홍보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사기가 의심되는 경우 금감원(1332)으로 문의하거나 경찰청(112)에 신고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