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등 특수은행 대손충당금 적립비율 턱없이 낮아
은행권이 지난해 말까지 기업 구조조정 실탄이 되는 대손충당금을 33조원 넘게 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대 규모다. 연간 증가 폭으로는 5년 만에 최대 규모로 늘었다.
30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국내 은행 고정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 잔액은 33조567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2008년 이래 잔액 기준 최고치다.
대손충당금 잔액은 2008년 말 21조원에서 2013년 31조원으로 늘었다. 2014년에는 30조원으로 1조원 줄었다가 다시 1년 만에 3조5000억원이 늘어났다. 특히 지난 2010년 5조826억원 늘어난 이후 연간 상승 폭으로 5년 만에 최대 규모로 늘었다.
은행 종류별로는 산업은행 등 특수은행이 16조6719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국내와 외국계를 합친 시중은행은 14조8586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지방은행은 2조372억원을 충당했다.
하지만 기업 구조조정의 큰 축을 담당하는 특수은행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91.5%에 그쳤다.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6개 시중은행의 평균 충당금 적립률이 145.3%에 달하는 것과 비교해 부족한 상황이다.
산업은행 충당금은 5조762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적립률은 78.65%로 은행권에서 가장 낮았다. 2014년에는 120.6% 적립률을 보였지만 1년 새 40%포인트 이상 줄었다. 산업은행이 적립률을 100%로 끌어올리려면 최소 1조5000억원 이상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특히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등 주요 조선사 대출 채권을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해놓지 않았다. 이에 추가로 들어갈 돈이 수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의 대우조선에 대한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6조3천억원에 달한다.
농협은행도 3조3462억원의 충당금을 쌓았다. 하지만 적립률은 79.65%로 나타났다. 산업은행에 이어 최하위권에 속했다.
기업은행은 4조원 충당금을 쌓아 적립률이 173.7%에 달한다.
국민·신한·우리·하나·SC·씨티 등 6개 시중은행 평균 충당금 적립률은 145.3%에 달한다. 국민은행 3조7088억원(151.5%), 우리은행 3조7687억원(121.5%), KEB하나은행 3조2546억원(128.9%) 등 3개 시중은행이 각각 3조원이 넘는 구조조정 실탄을 마련했다.
신한은행도 2조7897억원(172.7%)을 쌓았다. 한국씨티은행(6911억원·345.3%)과 SC제일은행(6456억원·189.3%)도 충당금을 6000억원 넘게 마련했다.
구조조정 위기에 놓인 대우조선해양과 자율협약이나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한진중공업, 현대상선, 한진해운, 창명해운에 대한 시중·외국계 은행 위험노출액은 3조2000억원 안팎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