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기준금리인상 가능성 시사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직접 그 가능성을 시사했다.
경기를 끌어올리고 신용경색 등 구조조정 후폭풍에 대비하려면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가 필요하지만 대외여건이 금리 인하를 어렵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27일(현지시간)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앞으로 수개월 안에 미국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옐런 의장은 "경제가 계속 개선되고 있고 성장도 되살아난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상황이 계속되고 고용시장의 호조가 이어진다면 앞으로 수개월 안에 그런 움직임(기준금리 인상)이 적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옐런 의장의 발언은 다음 달 14일부터 이틀 동안 열리는 연준의 통화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2주일 가량 앞둔 시점에 나온 것이다.
지난 4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0.5%로 동결한 이후 옐런 의장이 공식 석상에서 통화정책에 관한 발언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연준은 금융위기를 계기로 기준금리를 0∼0.25%로 낮추는 초저금리정책을 7년 간 유지하다가 지난해 12월 현 수준으로 금리를 올렸다.
금리 인상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옐런 의장의 이날 발언은 조만간 연준이 또 한 차례의 정책금리 인상에 나설 것임을 강하게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미국 국내의 현 경기 흐름이 지속된다면 6월 또는 7월 회의에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으니 국제금융시장이 이에 대비하라는 메시지인 셈이다.
금융시장에선 작년 말 미국의 금리 인상을 경험한 바 있고 연초 중국발 충격 등으로 내성이 생긴 만큼 연준이 추가 인상을 결정해도 신흥국 자금 유출 등의 충격이 예전보다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