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기후변화협상회의 폐회…한국 "GCF 유치국으로 적극 지원"
파리협정이 채택된 이후 처음으로 16~26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상회의가 폐회됐다.
이번 회의에서 한국 대표단은 국가 기후 정책 경험에 대한 워크샵(FSV)에 참석해 배출권거래제(ETS) 운영, 에너지 분야별 기후 정책과 관련, 한국정부의 대응 정책을 설명했다.
참가국들은 파리협정의 조기 발효 전망이 높아지는 가운데 파리협정 이행을 위해 파리협정 이행을 위한 주요 의제를 설정하고 세부 방식ㆍ절차ㆍ지침 마련을 위한 후속 협상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파리협정 이행을 위한 주요 의제는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을 담은 국가결정기여(NDC) ▲해외감축실적 활용을 위한 시장메커니즘 ▲기술메커니즘 ▲각국의 기후 행동과 지원에 대한 투명성 체제 ▲지구 평균온도 1.5℃ 상승 억제 목표 달성을 위한 전지구적 이행점검 ▲1000억달러 조성 목표를 비롯한 기후재원 이슈 등이다.
각국은 각 의제에 대해 국가, 협상그룹별 제안서 제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의 보고서 작성, 워크샵 개최 등 향후 논의 진행 방향 윤곽을 마련했다. 녹색기후기금(GCF)은 회의 기간 중 부대행사를 개최해 향후 파리협정 이행을 위해 강화되는 GCF의 활동에 대해서 소개했다.
한국 대표단은 주요 의제에 대해 환경건전성그룹(EIG)과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면서 입장을 발표했다. EIG는 한국이 속한 협상그룹이다. 또한 해외 온실가스 감축실적의 활용을 규정한 파리 협정 제6조의 협력적 접근법에 관한 협상에 참여했다.
한국 대표단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가제안서 등을 통해 한국 입장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것”이라며 “녹색기후기금(GCF) 유치국으로서 동 기구가 역량배양 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 규정 마련을 제안해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또, “한국 정부는 GCF가 확대된 업무영역에서 원활하게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치국으로서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