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들 위주 논의중…대다수 기업에 도입될 것이란 전망도

 

임금·단체협상을 논의하기 위해 건설사 노사 양측이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성과연봉제가 핵심 사항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 사진=GS건설

중견 건설사들이 성과연봉제 도입 방안을 검토하면서 노사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 노조 측에선 상시해고 가능성을 우려하며 강력하게 반발하는 상황이다.

건설업 노사는 지난달부터 임금‧단체 협상을 벌이고 있다. 최근 건설업계가 실적개선을 이뤘기에 양측 모두 가벼운 마음으로 협상 테이블에 임할 법도 하다. 하지만 회사 측이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려 하면서 노사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중견 건설사에서 갈등이 가시화되고 있다. 대다수 중견업체들은 여전히 호봉제를 유지하고 있기에 성과연봉제가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쌍용건설과 한라건설 역시 최근 노사 간 성과연봉제를 논의하고 있다. 쌍용건설 노조 관계자는 “현재까지 의견교환만 이뤄진 상황이다. 사측의 안을 평가하긴 이르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건설기업노조 관계자는 “성과연봉제가 지난해 취업규칙 변경과 함께 저성과자로 분류되는 이들을 사측에서 압박해 내보내는 구실로 작용할 수 있다”며 “불안한 고용조건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성과연봉제는 호봉제와 달리 직원 개개인의 성과를 측정해 급여를 차등화하는 임금체계다. 이에 사측에서 저성과자를 해고할 수 있는 취업규칙 변경과 함께 노동자를 옥죄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노조 측은 분석하고 있다.

반면 건설사들은 성과연봉제가 회사 구성원들에게 이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A건설 관계자는 “(성과연봉제는) 채산성 증대를 위한 방안이다. 회사와 조직원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건설사는 노조의 반발을 우려해 기본급을 최대한으로 잡고 성과주의가 적용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반 연봉제라는 변칙적 성과연봉제를 운용하고 있다. 해당 기업 노조 관계자는 “협상을 통해 노사 양측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한 결과”라고 말했다.

다만 일부 기업은 임단협 자체를 열지 못해 성과연봉제 도입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법정관리 중인 건설사의 노조 관계자는 “(법정관리를) 들어간 이후 한번도 임단협을 열지 못했다. 이로 인해 임금체계 논의가 중지된 상황”이라며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측의 이견에도 불구하고 성과연봉제가 대다수 건설사에 무난히 안착할 것이란 의견도 존재한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사들은 오너 중심의 경영이 이뤄지고 있다. 상명하복 조직문화도 심하다”고 기업풍토를 얘기한 뒤 “(오너가)정부시책에 반해서 득이 되는 것이 없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대다수 건설사들이 성과연봉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