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7% "성장 정체기·사양화 단계"
국내 주요 업종별 단체 90%가 주력 시장이 공급과잉 상태라고 진단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10일까지 건설, 자동차, 조선, 철강, 섬유 등 업종별 단체 3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7곳(90%)이 '주력 생산품이 공급 과잉 상태'라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8곳이 10년 이상 공급 과잉이 지속된다고 응답했다. 3년과 5년 이내 해소된다고 예측한 곳은 각각 8곳과 6곳으로 조사됐다.
공급과잉이라고 진단한 27 단체 중 12곳은 경쟁국의 시장진입 증가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이어 세계 경기침체에 따른 단기적 수요 감소(9곳), 국내 경쟁기업의 생산증가(4곳) 등 순이었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공급과잉 문제를 국내 차원이나 단기적 관점에서만 보고 다운사이징 위주로 구조조정하는 경우 경기 회복 시점에서 사업기회를 날리고 경쟁국에 기회를 이전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절반 이상 업종(17곳, 56.7%)이 경기를 장기불황 상태라고 진단했다. 7곳(23.3%)은 일시적 경기부진으로 판단했다. 6곳(20%)은 일시적 경기호전 국면으로 응답했다.
또 업종이 성장 정체기 내지 사양화 단계라고 답한 단체는 26곳으로 조사됐다. 고도 성장기나 완만한 상승기로 응답한 단체는 단 4곳에 불과했다.
불황이 지속하면 가장 우선해야 할 조치(복수응답)로는 감산 또는 조업단축이 19곳(38%)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투자 축소(10곳), 인력 감원(7곳), 사업분할(7곳), 자산매각(4곳) 등이 뒤를 이었다.
불황 극복을 위해 정부가 우선해야 할 정책(복수응답)으로는 기업규제완화(15곳), 신성장 동력 발굴·육성(13곳), 신시장 개척 지원(12곳), 노동시장 개혁(4곳), 금융지원 강화(4곳), 대규모 국책사업 추진(3곳) 등 답변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