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SK텔레콤과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스마트홈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16일 밝혔다. 사진은 장동현 SK텔레콤 사장. / 사진=뉴스1

SK텔레콤과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스마트홈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서울 선릉로에 위치한 LH공사 서울지역본부에서 진행된 협약식에서는 SK텔레콤 장동현 사장과 LH공사 박상우 사장이 참석해 LH아파트에 지능형 스마트홈 도입과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제휴를 계기로 양사는 2017년 상반기부터 LH의 신규 입주 아파트를 대상으로 개방형 스마트홈 서비스를 본격 적용할 계획이다.

 

양사의 제휴를 계기로 SK텔레콤은 향후 LH가 공급하는 다양한 주택에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돼 민간 건설사, 홈네트워크사 등 보다 많은 파트너들이 스마트홈 생태계에 합류해 실질적 사업 성과를 창출하는 동반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는 내년 상반기부터 스마트홈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해 SK텔레콤의 개방형 스마트홈 플랫폼과 LH의 홈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연동 모델 개발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LH아파트 입주자들은 기존 홈네트워크와 연동된 조명, 가스, 난방 등은 물론 스마트홈 연동 가전제품인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을 하나의 스마트홈 앱(App.)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양사는 독거노인을 위한 실버케어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동작 감지 센서를 활용해 12시간 이상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입주자에게 위험을 알려준다. 더불어 일정기간 동안 집안의 전기 및 수도 사용량이 전혀 없을 경우 입주자에게 알림을 전송해 관심과 보살핌이 필요한 부모나 독거노인을 보호할 수 있다.

 

더불어 양측은 날씨, 위치정보, 이동패턴 등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입주자가 외출하거나 귀가 시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스스로 제안하는 머신러닝 (기계학습) 기능도 도입한다. 예를 들어 외부 온도 및 미세먼지 농도 등을 분석해 에어컨이나 공기 청정기를 스스로 가동하거나 스마트폰의 위치 및 동작감지 센서 등을 활용해 이용자가 퇴근길임을 인지하고 미리 조명과 제습기 등을 켜게 해준다.

 

장동현 SK텔레콤 사장은 “LH공사와의 파트너십을 확보함으로써 스마트홈 서비스의 대중화를 좀 더 앞당길 수 있게 돼 기대가 크다앞으로도 양사는 지속적 협력과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스마트홈 시장에서의 리더십 강화와 생태계 활성화에 앞장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