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 직장인 2040명 대상 설문 결과…"접대 통해 업무 도움 받아" 83%
28일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 금지법) 시행을 앞두고 직장인 사이에서 직급이 높을수록 접대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은 직장인 2040명을 대상으로 5월 접대문화를 설문조사한 결과 33.9%가 접대해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직장인 직급별로 보면 직급이 높을수록 접대 경험이 많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임원급(76.3%)과 부장급(76%)이 하위 직급에 비해 접대 경험이 많았다. 그밖에는 과장급 58.3%, 대리급 39.3%, 사원급 16.5% 순이었다.
접대로 인한 스트레스는 하위 직급이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사원급 직장인 중 접대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비율은 78.9%로 다른 직급에 비해 월등했다. 이밖에 대리급(65%), 과장급(60.4%), 부장급(59.2%), 임원급(58.2%) 등 직급이 높을수록 접대 스트레스는 줄어들었다.
접대 경험이 있는 직장인들은 월평균 2.3회 접대한다. 1회당 평균 접대비용은 약 42만원으로 조사됐다. 접대 내용은 술(83.5%,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식사(72.7%), 선물(26.6%), 유가증권(13%)이 그 뒤를 이었다.
접대 대상은 거래처(65.5%, 복수응답), 상사·임원(32.9%), 영업대상 고객(29.8%), 공공기관 관계자(20.2%), 내부 업무 담당자(11.3%) 등이었다.
아울러 접대 경험이 있는 직장인 중 83.1%는 접대 대상으로부터 업무적 도움을 받았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6.9%에 그쳤다.
접대 횟수와 비용을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감소했다'는 응답은 34.7%로 '증가했다'(13.4%)는 답변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접대 횟수 감소 이유로는 '사회적으로 자제하는 분위기라서'(42.9%, 복수응답), '회사 지원 비용이 낮아져서'(27.5%), '상대방에서 꺼리는 추세라서'(18.3%) 등의 답변이 많았다.
접대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선 '비도적적이지만 않으면 괜찮다'(48.6%), '업무를 위해서 필요하다'(29.6%) 등 긍정적 의견이 주를 이뤘고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은 21.1%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