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와 거시정책 의견 교환은 바람직”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국책은행 자금지원책으로 거론되는 자본확충 펀드에 대해 “하나의 방안일 뿐 협의체와 합의한 바 없다”며 “모든 방안은 협의체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자금확충과 금리 결정은 별개 문제”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파급되는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영향은 금리를 결정할 때 고려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자금확충 펀드와 관련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그는 “자본확충 펀드는 하나의 방안일 뿐이며 채택한다 해도 규모가 어떻게 될지는 현재 국책은행이 보유한 여신 건전성, 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자기자본 비율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따라 평가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조선·해운산업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한은이 구조조정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기관이 아니다"며 "이런 면에 전문성이 부족해 연구를 하고 있지만 정부의 정책적 기업구조조정 틀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생각을 말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자본확충펀드를 제외하고 중앙은행이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해서 “중앙은행 손실 최소화는 한국은행의 책무”라며 “이 자리에서 언급하는 것은 실무진들의 협의를 제한할 가능성이 있어 모든 가능한 방안을 협의체와 논의할 테니 결과를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손발이 잘 맞고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 유일호 경제부총리와 면담이 뉴스화 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본다"며 "거시경제에 관한 의견, 정책을 교환하는 것은 필요하면 하는것이 당연하고, 그런 기회를 자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