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평균소비성향 72.4%…통계작성 이래 최저
가계 평균소비성향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최근 가계 실질소득은 증가하고 있지만 소비는 늘지 않는 등 가계소비가 침체 국면을 맞고 있다. 정부 내수 활성화 정책에도 불구 소비지출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통계청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06~2011년 가계 평균소비성향은 77%대 전후를 유지했지만 2012년 이후부터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은 72.4%로, 전국 1인 이상 가구 통계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국 1인 이상 가구 자료가 제공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평균소비성향은 금융위기 때인 2008년 76.1%로 가장 낮았고, 2010년 77.6%로 가장 높았다. 2003년부터 자료가 제공된 전국 2인 가구 평균소비성향도 71.9%로 사상 최저치다.
평균소비성향 감소는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보다 소비지출 증가율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균소비성향이 줄면 가계 흑자율이 높아진다. 가계가 벌어들인 만큼 소비하지 않고 저축을 늘리고 있는 셈이다.
2011~2015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평균 2.7%였지만 소비지출 증가율은 평균 1.1% 늘어나는데 그쳤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평균소비성향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한 품목은 실제주거비(0.61%포인트), 기타주거관련서비스(0.16%포인트) 등이다. 전세가격 급등과 월세 전환으로 주거 관련 비용이 증가했다.
자동차구입(0.53%포인트), 스마트폰 등 통신장비(0.52%포인트) 등 일부 내구재 소비 지출과 단체여행비(0.34%포인트), 문화서비스(0.16%포인트) 등 여가와 관련된 소비 지출, 보험(0.20%포인트) 등도 평균소비성향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특히 자동차 구입은 수입승용차에 대한 선호, 지난해 말까지 시행된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로 인해 증가했다. 고령화가 진행되며 보험 소비는 늘었다.
반면 평균소비성향 하락의 주요인으로는 통신서비스(-1.03%포인트), 복지시설(-0.86%포인트)에 대한 수요 감소가 꼽혔다.
이동통신사들의 기본료 인하, 결합상품 할인 대상 확대 등으로 통신서비스 지출 부담이 완화됐다. 인구 고령화로 통신비 지출이 낮은 고령층의 비중이 높아진 탓도 있다. 영유아 보육료 지원으로 어린이집 등에 지출하는 비용도 줄었다.
운송기구연료비(-0.79%포인트), 연료비(-0.65%포인트) 등 석유류 관련 품목, 고등 교육(-0.51%포인트) 등 자녀 교육 관련 품목도 소비성향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직물 및 외의(-0.28%포인트), 신발(-0.10%포인트) 등 의류와 식사비(-0.20%포인트) 지출도 줄었다. 채소 및 채소가공품(-0.15%포인트)과 신선수산동물(-0.14%포인트) 등과 관련된 지출도 감소했다.
국제유가 급락으로 석유류에 대한 가계 지출 부담이 크게 낮아졌고, 학령인구 감소가 교육서비스에 대한 수요 저하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지난해 민간소비 성장률은 2.2%로 국내 경제성장률(2.6%)보다 낮았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006년부터 10년 연속 실제 경제성장률을 밑돌고 있다. 민간소비 부진이 경제성장률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셈이다. 국내 경제성장률은 2012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2014년(3.3%)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3%를 하회하고 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비성향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여력을 향상시키고 늘어난 소비여력은 저축이 아닌 소비로 이어지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필수재 가격 안정으로 늘어난 가계 소비여력이 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 등 다양한 부분의 소비로 연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가계 주거비 및 가계부채 부담 등을 완화하기 위한 중장기적 대책이 필요하다”며 “미래 불확실성으로 냉각된 소비심리를 되살릴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