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보전위해 경영혁신은 않고 손쉬운 방법만 찾는다" 비판 커

은행권이 ATM 수수료 등 각종 금융거래 수수료를 올리고 있다. / 사진=뉴스1

은행권이 각종 금융거래 수수료를 올리고 있다. 저금리 기조 등 악화된 수익성을 보전하기 위해 서민 지갑을 노린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KEB하나은행은 오는 13일부 터 ATM 수수료를 인상하기로 했다. 영업시간 내 다른 은행으로 10만원을 초과해 이체할 경우 기존 800원이었던 수수료를 1000원으로 올려 받는다.

영업시간이 지날 경우도 기존의 900원이었던 수수료를 1000원으로 올렸다. 다른 은행 ATM을 이용해 계좌이체를 하는 경우에도 기존보다 100원 더 오른 1000원을 받는다.

신한은행은 지난 2월 수수료를 인상했다. 10만원 미만 금액을 다른 은행으로 송금할 경우 기존 800원이던 수수료를 1000원으로 올렸다. 창구를 통해 100만원이하를 다른 은행으로 보내면 기존 1000원에서 2000원 수수료를 받고 있다.

씨티은행은 지난해 11월 창구에서 10만원 미만을 타행으로 송금할 경우 수수료를 면제해 주던 혜택을 없애고 수수료 1000원을 받기로 했다. 지난 3월에는 국제현금카드 발급 수수료도 올렸다. 카드를 발급받을 때 인터넷 무방문 신청서비스를 이용하면 수수료를 면제했지만 앞으로는 2만5000원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시중은행에서 시작한 수수료 인상은 지방은행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산은행 경남은행, 전북은행 등이 ATM 이체수수료를 이미 올렸거나, 올릴 계획이다.

시중은행은 수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해외진출과 서비스 개선 등을 통한 이익 창출보다 수수료 인상 등과 같은 서민 부담 가중이라는 손쉬운 방법을 택했다는 비판에 '수수료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ATM 수수료 인상은 손쉽게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인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ATM 기기 운영비나 인건비 등을 생각하면 올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의 수수료 인상은 수수료 정상화라고 봐야한다"며 "일부 비난이 있지만 지금까지 낮게 책정된 수수료를 올려야 ATM 운영을 할 수 있다. ATM 적자로 기계 숫자가 줄면 그만큼 고객 불편이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자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은행은 이자와 수수료 중심의 수익구조를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의 고수익 구조를 깨고 금융소비자들을 위한 서비스 개선과 상품 개발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 입장에서 해외진출은 장기간 투자와 현지전략이 필요하다"며 "이런 쪽에서 이익이 나지 않다 보니 국내로 시선을 돌린 면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국내은행 해외점포는 5억7000만달러(약6600억원)의 당기순익을 냈다. 전년보다 9% 줄었다.

인터넷전문은행과 핀테크에 기반을 둔 P2P, 크라우드펀딩 등 금융 스타트업 기업들이 출범을 앞두고 금융소비자 편익을 위한 서비스 개발을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은 전통적인 예대 마진에 의한 수익 증대에만 주력한다는 비난도 나왔다.

구 연구위원은 "인터넷전문은행 등에서 낮은 수수료와 저금리를 활용해 생각지 못한 서비스를 제공하면 금융권 내에 경쟁이 발생할 것"이라며 "은행도 새로운 상품 개발에 나서 이들과 경쟁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 직후부터 금리 혜택, 수수료 면제를 실시할 순 없을 것"이라며 "시중은행은 쌓아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들보다 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