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관계부처 합동 기업 간담회 개최

최상목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정부가 가상현실(VR)산업 육성을 위해 과감한 규제철폐, 80조원 정책금융 지원, 문화콘텐츠 진흥세제 신설 등 세제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3일 상암 누리꿈스퀘어를 방문해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와 국내외 주요 VR 관련 기업체와 간담회를 가졌다.

 

최 차관은 국내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체험전시관인 디지털 파빌리온과 국내외 기업의 VR기기∙콘텐츠 체험을 통해 글로벌 기술발전 현황을 점검했다. VR 관련 기기제조∙콘텐츠∙통신∙방송 등 다양한 업계의 애로사항을 듣고 정부 지원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최 차관은 전 세계적으로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이 융복합돼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청년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선 융복합 신산업 육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래부는 상암 디지털미디어씨티(DMC)에 중소 VR업체 지원을 위한 성장지원센터를 마련해 유망 VR기업 입주를 지원하고 임대료를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1500평 규모의 성장지원센터 공간을 신규확보하고, 14개사의 유망기업을 선발, 1020인 규모의 기업에 대해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오는 10VR 개발자 대회를 통해 가상현실(VR)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기업 간 생태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장도 열린다.

 

문체부는 모바일 게임에 한해 허용되고 있는 게임물 자체등급분류제를 청소년이용불가∙아케이드 게임을 제외한 모든 게임물로 확대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미래부와 공동으로 추진중인 VR 콘텐츠 저작 기술개발을 오픈 소스형으로 확대해, 다양한 수준의 개발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최 차관은 “VR과 같은 신산업의 경우 초기시장이 작아 중소기업이 판로개척에 어려움이 크므로 공공부분이 선도적으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부분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