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부 장관, 자율주행자동차 업계 간담회 참석
정부가 자율주행차 핵심기술 개발에 5년간 총 1455억원을 투입한다. 규제프리존 내 자율주행 실증존을 만들고 테스트베드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국내 자율주행차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9일 자율주행차 업계 간담회에서 “내년부터 투자되는 자율주행자동차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자동주행기록장치 등 8대 핵심부품과 시스템 개발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에스엘, 이래오토모티브, 경창산업, 네이버, 엠씨넥스, 오비고 등 자율주행차 관련 9개 기업과 전자부품연구원, 산업연구원,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등 연구소∙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주형환 장관은 “최근 테슬라∙구글∙애플 등이 자동차 산업 판도를 바꾸는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도 자동차가 스마트기기로 진화하는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은 부품업체 육성 및 기술개발 강화, 실증 환경 조성 및 테스트베드 확충, 신기술 개발을 위한 제도적 지원 등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주 장관은 산업엔진 및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내년부터 대규모 투자되는 자율주행자동차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카메라모듈, 레이더∙라이다 모듈 등 8개 핵심부품 및 자동차전용도로∙도심로 자율주행 시스템 등 시스템 개발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첨단운전자 지원 플랫폼을 구축, 기술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 확충도 약속했다.
아울러 지난해 12월 발족한 자동차융합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업계간 협업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올해 하반기부터 70억원 규모로 융합형 연구개발(R&D) 과제 지원에도 나설 방침이다.
주 장관은 “신기술 제품 사업화를 가로막는 규제에 대해 관계부처와 협의해 해소하고 신기술이 적용된 안전장치 탑재 시 보험료 할인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