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폐지 등을 통해 비효율적인 기업을 걸러낸 때문
정부주도의 구조조정이 주식시장에 호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IMF와 같은 추세적 반등은 어렵다는 지적이다.
26일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정부가 진행중인 기업 구조조정이 증권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며 "다만 증시의 추세적 반등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상장폐지 등을 통해 비효율적인 기업을 걸러낸다. 이 때 코스피지수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비효율적인 경제주체들에게 가려져 있던 효율적 경제주체들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코스피에서는 상장폐지 종목이 늘던 해에 주가가 상승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장폐지 종목이 줄던 해에 코스피는 중립 이하의 추세를 보였다.
증권 시장의 상승 추세는 구조조정이 구체화하면서 본격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IMF 구제금융 초기 주가는 지지부진한 상황이 이어졌다. 시장에서 구조조정의 범위와 파급력을 예측하기 어려웠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구조조정이 구체화하면서 시장은 반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주도 구조조정 계획이 구체화되기 전까지는 섣부른 시장대응 보다는 관망이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지적이다.
이번 구조조정은 IMF 당시와 같은 주식시장의 추세적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 지적도 나왔다. 구조조정의 추진주체들의 성격과 속도가 과거와는 다르다는 점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이번 구조조정은 당시만큼 대대적이며 과감한 구조개혁이 전개될 가능성은 낮다”며 “시장의 터닝포인트가 될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