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기간 정기 예금금리는 반 토막 넘게 하락

서울 강남의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앞에 매물 정보가 붙어 있다. / 사진=뉴스1

 

지난 6년여간 전셋값 상승률이 매매가격 상승률의 2.7배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6KB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전세 제도의 이해와 시장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 전셋값은 20098월부터 올해 3월까지 68개월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택 전셋값은 이 기간에 42.8% 상승, 같은 기간 매매가격 상승률(15.9%) 보다 약 2.7배 높았다. 반면 정기 예금금리는 20098월 연 4.09%에서 올 2월 연 1.73%로 반 토막 넘게 떨어졌다. 즉, 임대인 입장에서는 임차인에게 높은 전셋값을 받아 은행에 고스란히 예금해도 예전만큼 수익을 올리지 못한다는 얘기다.

 

때문에 임차인은 임차인대로 전셋값 고공행진 탓에 상대적으로 덜 비싼 월세를 선택하는 추세다.

 

실제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에 의하면 월세 비중은 201250.5%에서 201455.0%4.5%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월세 거래도 지난 201460만 건에서 작년 65만 건으로 5만 건 증가했다.

 

이종아 KB금융경영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전세보다 상대적으로 월세가 저렴한 데다가 임대인 역시 월세 운영을 통해 수익률을 높이려 하기에 당분간 전세의 월세 전환은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최근 아파트 분양시장 호황에 힘입어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이 급증하는 점은 월세 전환의 속도를 더디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이 연구원은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공급 증가는 월세 시장의 공실 증가 등 관리 위험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상대적으로 전세 공급물량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주택 매매와 전세가격 추이 및 전세가율 / 자료=KB금융경영연구소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