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조원 규모 캐나다 순찰 잠수함 프로젝트···한화오션 유력 수주 기업으로 떠올라
日과 치열한 경쟁 예상···한화오션, 수주 실적·가격 경쟁력 갖춰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정상회담을 통해 안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가운데,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이 출범 후 첫 방산 수출에 성공할지 관심이 쏠린다. 캐나다는 12척의 노후 잠수함 교체를 앞두고 있는데 사업 여건을 따져봤을 때 한국의 한화오션과 일본 미쓰비시·가와사키중공업이 이 사업을 두고 경쟁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한다.
1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전날 트뤼도 총리와 진행한 정상회담을 통해 안보·경제 협력 강화 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국 간 방산 협력에 대한 공조에 합의하면서 ‘캐나다 순찰 잠수함 프로젝트’(CPSP)가 추진하는 잠수함 교체 사업을 통해 우리 기업이 수주를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캐나다 해군이 추진하는 CPSP는 노후 잠수함을 대체할 신형 잠수함을 구매하는 프로젝트다. 앞서 캐나다 의회에선 급변한 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부터 신형 잠수함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고, 관련 프로젝트가 신설됐다. 업계에 따르면 캐나다는 이 사업을 통해 8~12척의 잠수함을 발주할 예정이며 사업 규모는 600억 캐나다 달러(약 60조원)에 달한다.
사업 규모를 따져보면 유력 수주 국가는 한국과 일본으로 좁혀진다. 사업비 600억 캐나다 달러 가운데 30~50%가 선박 획득 비용으로 추정되는 점을 고려하면 300억 캐나다 달러 가량으로 최대 12척의 잠수함을 사야 한다. 미국, 독일, 프랑스가 건조하는 잠수함 가격이 3조원을 훌쩍 넘어 한국과 일본의 잠수함이 캐나다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캐나다 쪽 움직임도 한·일 양국으로 향하고 있다. 방위산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연방조달청 등은 지난 10일부터 사흘 동안 한화오션 옥포조선소, 해군 잠수함사령부를 찾아 잠수함 제조·수리 현장을 둘러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이들은 일본 미쓰비시중공업, 가와사키중공업을 찾아 잠수함 운용 실태를 점검한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방산업체 중 잠수함 건조 부문에선 한화오션이 가장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 회사의 국내 점유율은 97.8%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오션은 순수 독자 건조 기술을 통해 2011년 인도네시아에 1400t급 잠수함을 수출하는 등 유일하게 수출 실적을 가진 국내 기업"이라고 했다.
캐나다의 물망에 오른 모델로는 ‘DSME 3000’이 있다. DSME 3000은 도산 안창호급 잠수함을 개량해 탄생한 중형 잠수함으로 재래식 잠수함 중에선 선두에 있는 모델로 평가받는다.
경쟁 모델은 일본의 ‘다이게이급’이다. 일본은 잠수함 건조 경험이 한국보다 많아 건조 기간 면에서 유리하다는 평가도 있다. 다만 가격 경쟁력 면에선 한화오션의 DSME 3000이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그룹과 기업결합에 따른 방산 시너지는 기대 요소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의 무기체계를 한화오션의 잠수함에 적용하는 방안도 있다. 한화오션이 오는 2026년으로 예상되는 CPSP 수주를 따내면 단군 이래 최대 규모 잠수함 수출 실적을 쌓게 되는 만큼 향후 해외 잠수함 시장에서 입지를 쌓는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업의 성패가 정부 지원에 따라 크게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잠수함 기술력 격차가 '대동소이'한 만큼 정부의 '절충교역' 역할이 중요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문근식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캐나다 순찰 잠수함 프로젝트 규모가 60조원에 이르는 만큼 캐나다 측에서 이에 상응하는 절충교역을 해달라고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과거에는 방위사업청 주관으로 수주 규모의 20~30%에 합당하는 절충교역 지원을 했지만 지금은 배터리·IT 등 다양한 산업에 대한 요구가 더 크다. 범부처 차원의 협력이 필요한 때"라고 했다.
이어 정부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통해 기업간 협력을 주선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문 교수는 "일본같은 경우 지난 2016년 호주 잠수함 수주전에서 가와사키와 미쓰비시 2개의 조선소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했지만 정부가 주도해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며 "이번 사업도 한국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할 가능성이 크다. 기업간 경쟁이 아닌 협력 관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정부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자처하지 않으면 대형 사업을 할 수 없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담과 관련해 캐나다 잠수함 도입 사업과 관련한 의제는 확인이 어렵다. 현재 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이와 관련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진 않다"면서도 "사업이 진행된다면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