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크스바겐·다임러·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 반도체 문제 장기화 전망
전기차 생산 급증 탓에 수급난 가중

헤르베르트 디스 폴크스바겐 CEO. / 사진=연합뉴스
헤르베르트 디스 폴크스바겐 CEO.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전세계 주요 완성차 기업들이 반도체 부족 사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반도체 공급난으로 인한 생산차질로 자동차 출고가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향후 가격 상승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6일(현지시각) CNBC에 따르면 폴크스바겐, 다임러, 포드 등 유럽과 미국 주요 완성차 기업들은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1’에서 반도체 부족 문제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헤르베르트 디스 폴크스바겐 최고경영자(CEO)는 “반도체 부족 때문에 중국 시장 점유율을 잃고 있다”며 “협력사들이 반도체 생산 확대를 추진해왔으나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폴크스바겐은 당초 올 여름에는 반도체 공급난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여태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폴크스바겐에 반도체 부품을 공급하는 공장 상당수가 말레이시아에 자리잡고 있는데, 최근 이 지역에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며 공장 가동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

디스 CEO는 “사물인터넷이 너무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반도체 부족은 계속될 것”이라며 “인터넷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 (완성차 업계가) 상대적으로 더 타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자동차 회사 포드의 유럽 이사회 의장인 군나르 헤르만은 반도체 부족 사태가 2024년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헤르만 의장은 “전기차 생산이 늘어나는 것도 반도체 부족 현상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포드 포커스 차를 1대 만드는데 필요한 반도체는 300개지만, 신형 전기차를 만드는 데는 3000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반도체 뿐 아니라 리튬, 플라스틱, 철강 등 기타 원자재도 공급 위기 상황이라며,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자동차 가격이 올라갈 수 있다고 밝혔다.

독일 다임러의 올라 켈레니우스 CEO는 “반도체 수급 문제는 내년까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2023년은 지나야 완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한편 국내의 경우 반도체 수급 문제로 인해 인기 차종 출고 기간이 계속해서 지연되고 있다.

현대차 아반떼의 경우 출고까지 4개월, 코나 하이브리드·투싼 6개월, 싼타페 하이브리드 4개월 등 출고난이 이어지고 있다. 기아는 K5는 4개월, K8 6개월, 셀토스 4개월, 스포티지·쏘렌토 4~6개월, 카니발 5개월 등 대부분의 모델이 3개월 이상 기다려야 차를 받아볼 수 있는 상황이다.

국내 완성차 뿐 아니라 벤츠, BMW 등 수입차에서도 반도체 대란으로 인해 출고가 길어지고 있으며, 일부 옵션을 제외하고 출고를 앞당기는 ‘마이너스 옵션’ 판매도 이뤄지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