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3분기 중 매출액‧영업이익 최대치
건강 가전 및 프리미엄 TV 판매 확대
코로나19 초기 억눌린 수요 이연 효과

LG전자 3분기 영업 실적 / 자료=LG전자
LG전자 3분기 영업 실적 / 자료=LG전자

 

LG전자가 올 3분기 1조원에 가까운 영업이익 실적을 내면서 역대 3분기 가운데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올 상반기 코로나19 여파로 억눌린 TV와 가전제품 수요가 회복세에 접어든 가운데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면서 수익성 개선 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된다.

8일 LG전자는 연결기준 매출액 16조9196억원, 영업이익 9590억원의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8%, 22.7% 성장했고, 전 분기 대비로도 매출은 31.8%, 영업이익은 93.6% 증가한 실적이다. 특히 올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역대 3분기 가운데 각각 최대치다.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인 8500억원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

시장에선 LG전자가 주력하는 가전과 TV 수요 회복세가 실적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추정한다. 올 상반기 코로나19 여파로 억눌린 가전 수요가 3분기로 이연된 가운데 마케팅 비용 절감 노력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증권업계 추정치를 종합하면 LG전자의 가전을 담당하는 H&A 사업본부는 올 3분기 매출 6조원대, 영업이익 6000억원대 초반의 실적을 낸 것으로 보인다. 올 여름 장마철이 길어지면서 에어컨 판매는 주춤했지만 건조기와 제습기 판매가 늘면서 실적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원가 절감과 비용 효율화 덕분에 수익성을 사수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올 상반기 코로나19 여파에도 H&A본부의 영업이익률은 역대 최고 수준인 13.1%를 기록한 바 있다. 

TV사업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의 경우 OLED TV 등 고부가 제품 판매가 성장세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코로나19 여파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당초 시장 우려 대비 TV 수요 성장세가 지속된 점도 한 몫 했다. 이에 증권업계선 HE사업본부의 매출 실적이 상반기 2조원대 수준에서 올 3분기 3조원대 초중반으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간 발목 잡던 스마트폰 사업은 올 3분기 적자 규모를 줄인 것으로 보인다. 올 3분기 MC본부의 영업적자는 1500억원대로, 매 분기 2000억원대로 벌어지던 손실 규모를 줄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기간 LG전자가 10% 내외 점유율을 확보한 미국 스마트폰 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었고 중남미 지역에선 화웨이의 공백이 커지면서 LG전자가 반사이익을 얻었다는 분석이다. 

하나금융투자증권은 “코로나19 이후 가전과 TV의 수요가 견조하게 회복됐고, 온라인 등의 언택트 판매 비중이 확대되며, H&A와 HE 사업부의 수익성이 기존 전망치 대비 양호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