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금융 연체율 12.5%···부동산 관련 연체율 상승 두드러져
P2P업계 “리스크 관련 부서 신설 및 인력 확충 등 연체율 관리 주력할 것”

P2P대출 연체율 및 추이/자료=금융감독원
P2P대출 연체율 및 추이/자료=금융감독원

P2P업계가 최근 법제화가 마무리되면서 제도권 금융 편입을 앞뒀지만 여전히 연체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고심에 빠졌다. 금융당국은 소비자 경보까지 발령했다. 제도권 편입에 발맞춘 P2P업계의 자정작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전날 금융감독원은 부동산 대출을 중심으로 급성장 중인 P2P(개인간 거래) 상품에 ‘소비자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 높은 수익률을 내세운 홍보를 통해 빠르게 투자자금을 유치하고 있지만 연체율도 함께 상승곡선을 그리면서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P2P 업체 105곳의 대출 잔액은 1조7801억원에 이른다. 이는 전년(1조4622억원) 대비 21.7% 증가한 수치다.

P2P 대출 중에서도 특히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급증하는 추세다. 금감원 자료 제출 요청에 응한 37개 업체의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8797억원으로 1년 전 동기(5444억원)보다 61.6% 급증했다. 부동산 관련 대출이 P2P업계 전체 대출 증가를 견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동산 경기는 주기적으로 하락세가 상승세가 돌아온다. 이에 부동산 관련 P2P 대출을 두고 향후 부동산 경기 하락이 본격화되면 그간 고수익을 거뒀던 투자에서 다수의 회수 지연 및 손실 사례가 발생할 수 있어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로 P2P 대출은 몸집이 커진 만큼 연체율도 매우 높다. 6월 말 기준 P2P 대출시장 연체율은 12.5%로 전년보다 1.5%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8개 전업 카드사의 카드대출 부문 연체율이 2.56%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의 연체율이다.

특히 부동산 관련 P2P 대출의 연체율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부동산대출 전문업체 44곳의 연체율은 7.5%로 1년 만에 3.1%포인트 올랐다. 이 중에서도 부동산담보대출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은 120일 이상 장기 연체 비중이 각각 71.3%, 70.5%에 달했다.

한국P2P금융협회의 회원사 대출현황조사를 살펴보면 9월 말 기준 애플펀딩(93.5%), 썬펀딩(85%), 비욘드펀딩(70.1%) 등 연체율이 50%를 넘는 업체들도 6군데였다. 이들은 모두 부동산대출 전문 P2P 업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부 P2P업체는 투자자 손실 발생시 일부를 보전해준다고 광고하고 있으나 P2P업체의 손실보전 재원이 충분치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며 “부동산 관련 P2P 대출의 경우 미분양 등 사업실패시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며, 부동산 경기 변동에 가장 민감한 대출임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상임대표는 “원래 P2P금융은 캐피탈적 성격이 강했는데 최근 은행 등 제1금융권의 대출심사에서 탈락해 자금을 마련하지 못한 부동산 업자들이 P2P 업체에서 대출을 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P2P금융이 대출 규제 사각지대로 활용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저축은행 같은 경우엔 내년부터 부동산 관련 신용공여 합계액을 신용공여 총액의 일정 부분을 넘지 않도록 하는 규제가 적용된다”며 “P2P 대출도 제도권에 들어온 만큼 금융당국 차원에서 대출 규제 및 심사와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P2P업계 역시 이런 우려를 의식하고 자체적으로 연체율 등 리스크 관리에 힘을 쏟겠다는 입장이다.

P2P금융 업체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외형 성장에 주력해 왔다면 이제부터는 연체율을 비롯한 리스크 관리에도 집중할 예정”이라며 “제도권에 편입된 만큼 채권 관리 등 리스크 관련 부서를 신설하고 인력을 확충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