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자업계, 소재 전문 인력 확충 전망
정부, 소재·장비·부품 전문 인력 5년간 300명 양성···업계 인재 수혈 전망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삼성전자가 올 하반기 가전과 스마트폰 등 완제품 분야 신입 공채에 ‘재료개발’ 직무를 포함했다. 완제품 부품 소재와 표면처리 관련 원천 기술 연구 부서에 배치할 신입 인력을 뽑는 것은 2년만이다. 완제품 분야 신소재 발굴 인력 신입 채용은 별도 채용전형으로 나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정부의 수출 통제 조치를 계기로 소재 관련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관련 인력 확충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1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번에 모집되는 글로벌기술센터 재료개발 인력은 폴리머·금속 관련 신소재를 개발, 분석 및 평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폴더블 디바이스 등 표면처리 신공법 개발 업무도 담당한다.

삼성전자는 공통전형으로 채용하던 것을 지난해 상반기부터 사업부 별 세부 부문과 직무로 나눠 채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CE·IM 사업부 내 글로벌기술센터 근무 인력 역시 지난해 상반기부터 별도 채용 지원을 받았다. 그간 글로벌기술센터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회로개발 인력을 중심으로 신입직원을 채용했다. 지난해 상반기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에서 근무할 재료개발 신입 채용 이후, 올 상반기까지 진행된 3차례 신입 공채에서 글로벌기술센터 재료개발 신입 채용은 없었다.

글로벌기술센터는 스마트폰, TV 등 완제품 속 부품의 소재와 표면처리 기술을 연구하는 부서다. 지난해 상반기 모집된 영상디스플레사업부가 디스플레이용 필름 및 필터 소재와 광원 기술 개발에 집중한 것과 달리 이번에 글로벌기술센터에서 근무할 인력은 폴리머 및 금속, 화학 신소재를 발굴하고 개발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외관 부품의 품질, 성능 향상을 위해 물리·화학적 소재를 분석, 평가하고 개선하는 업무를 전담한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이번 채용을 두고 “사실상 일본 수출 규제 조치의 영향과 일면 무관치 않다”고 분석했다.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가 통보된 후 지난 2개월 가량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제조업계가 일본산을 대체할 수 있는 부품, 소재, 장비 발굴 연구에 속도를 내온 까닭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하겠다고 밝힌 후 지난 두 달간 일부 업체 엔지니어들은 밤샘 작업까지 할 정도로 제품 개발 테스트에 몰두한 것으로 안다”며 “정부가 실시하는 소재, 부품, 장비 인력 양성 지원책 등 정책 기조도 충분히 기업 채용 계획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반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집중된 위기감은 세트 사업까지 번졌다. 업계는 향후 전방 기업이 소재 발굴 및 최적화 테스트를 거칠 인재를 보다 확충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일본 수출 통제 조치가 당초 업계 우려만큼 확산되고 있지 않으나, 원천 기술 확보에 대한 요구가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년간 300명의 반도체 소재·장비·부품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을 지난달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 소재·장비·부품 기초 및 원천기술 연구개발(R&D) 투자 예산을 3000억원으로 책정해 올해 예산 규모의 두 배 수준으로 늘릴 방침이다.

한태희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일본 수출 규제 이후 정부가 강력하게 후방 산업 지원에 대한 의지를 표방한 상황이며 향후 기업들이 정부 정책 방향성에 발 맞춰 소재 전문 인력을 확대 충원할 가능성도 있다"며 "점차 세계 경제가 보호무역 기조로 흐르는 점도 업계 경각심을 키우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전자 관계자는 “해당 직무는 인력이 필요한 시기마다 꾸준히 채용을 진행해왔다”며 “이번 역시 필요 인력을 채용하는 것일 뿐 대외적인 영향으로 인해 뽑는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