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미래 산업 전망∙방향 청사진 제시

신산업 민관협의회 발족·1차 회의 개최

2016-04-11     하장청 기자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벨레상스호텔에서 주력산업 현황 진단과 산업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신산업 민관협의회를 발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신산업 민관협의회는 주력산업 성장이 정체되고 기존 글로벌 산업 판도를 바꿀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는 가운데, 장기적 시각에서 우리 산업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민관 공동 논의의 장이다.

 

협의회는 주형환 산업부 장관과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이 공동의장을 맡았고, 산업, 기술, 연령, 학제, 기업규모 등 각계각층 대표 33인으로 구성됐다. 

 

주 장관은 수출활력 회복을 위해 산업단지 수출카라반, 소비재 수출 대책 수립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새로운 먹거리와 대체 수출주력 품목 발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민간이 주도적으로 투자하고, 정부는 과감한 규제개선, 총력지원, 기업간 융합얼라이언스를 위한 플랫폼을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박 회장은 세계는 신산업 육성 및 신시장 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우리도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은 창조와 혁신을 통한 신기술∙신시장 개척과 핵심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정부는 불필요한 규제를 적극 개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신산업 동향 및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참석한 각계 전문가들이 토론을 벌였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개별기업, 산업, 정부 등 3대 주체가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베인&컴퍼니는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하부에서 촉발되는 혁신과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신산업 민관협의회를 분기마다 개최하고, 올해 말까지 미래 산업의 전망과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한 청사진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개발연구원(KDI)을 중심으로 유망 신산업별 실무 분과위원회를 구성∙운영해 미래 신산업 보고서를 내놓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