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직접투자 서부·서비스업·내수시장으로

“지역별 개발 전략에 맞게 차별화해야”

2016-04-04     원태영 기자

 

자료=현대경제연구원

중국에 대한 한국의 직접투자 증가율이 최근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접투자 양상도 변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대 중국 직접투자 유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0∼2007년 중국에 대한 직접 투자는 연평균 32.3%씩 증가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하락해 2008~2015년에는 -4.2%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 양상도 달라지고 있다. 주요 투자지역이 동부에서 서부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동부와 중부지역에 대한 직접투자 증가율은 2008~2015년 각각 -5.9%, -4.8%로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서부에 대한 투자는 2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위주의 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2008년 이후 서비스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전체 투자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은 2000∼2007년 각각 82.1%와 15.0%였다. 하지만 2008∼2015년에는 75.1%, 23.2%로 격차가 줄었다. 

 

아울러 대기업 주도의 대 중국 투자가 지속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점차 투자가 축소되고 있다. 대 중국 직접투자에서 대기업은 2000년 5억1000만달러에서 지난해 22억달러로 15년간 연평균 10.3% 성장했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같은 기간 2억4000만달러에서 5억4000만달러로 연평균 약 6.0% 성장에 그쳤다.

 

또 대기업의 대중국 직접 투자 증가율은 2000∼2007년에는 59.4%였고 2008∼2015년에는 77.6%로 확대됐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증가율은 같은 기간 33.7%에서 19.3%로 크게 줄었다.

 

투자 목적별로는 내수시장 확보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수출 촉진과 저임금 활용을 위한 투자 비중은 2000∼2007년 전체의 33.7%와 20.7%였지만 2008∼2015년에는 각각 17.4%, 11.5%로 줄었다. 현지 시장진출 목적의 비중은 같은 기간 27.6%에서 67.0%로 급증했다.

 

조세 등 현지 경영 환경은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정부는 2008년부터 외국인투자(외투) 기업과 중국 본토 기업에 동일한 법인세 세율(25%)을 적용하고 있다. 또 감세 등 외투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항목도 폐지했다.

 

연구원은 이런 상황에서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등 중국의 지역별 개발 전략에 맞는 차별화된 진출 공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재진 연구위원은 “향후 일대일로, 4대판 3대 경제벨트 등 지역별 개발이 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맞는 대 중국 지역별 투자 전략도 모색해야 한다”며 “고부가 제조업 및 서비스업 육성 등 중국의 산업 재편을 겨냥해 다양한 업종 분야의 진출 전략도 구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 중국 진출을 준비하는 유망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관리시스템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며 “노동법 개정 등 최근 대 중국 비즈니스에서 외투기업에게 불리한 제도 변화가 나타나는 만큼 이에 맞는 투자 전략 마련도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