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확산 위해 민관 협력 강화

산업부, 스마트그리드 확산 정책협의회 개최

2016-03-29     원태영 기자

 

자료=산업부

정부가 스마트그리드 확산을 위해 민관 협력 강화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한국기술센터에서 ‘스마트그리드 확산 정책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협의회는 지난해 12월 진행된 업무협약의 후속조치로, 사업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스마트그리드 확산을 위한 정책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의미한다.

 

협의회에 참석한 8개 컨소시엄 주관 기업들은 전국 13개 지역 다양한 수용가(주택가, 공단, 상업지구 등)에서 구현될 예정인 스마트그리드 사업모델을 설명하고, 세부 추진전략과 사업 진행상황을 공유했다. 8개 컨소시엄 주관 기업은 한국전력, SK텔레콤, KT, 포스코 ICT, 현대오토에버, LS산전, 수완에너지, 짐코 등이다.

 

정부는 지능형 전력 소비와 공급 효율와 계량시스템(AMI)에 기초한 전력서비스 등을 통해 지역 주민 전력사용량이 5~10%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능형 전력소비 효율화 모델은 빌딩, 공장 등 전력을 다소비하는 수용가에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고효율 기기 등을 설치해 에너지 이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한전, SK텔레콤, KT 등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창원, 대구, 경북, 강원도 등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능형 전력공급 효율화 모델은 분산전원(태양광, 연료전지 등)을 기반으로 실시간 전력 수요정보를 제공받아 발전량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참여기업은 수완에너지와 짐코로 광주와 서울, 대구 등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다. 

 

AMI 기반 전력서비스 모델은 AMI가 구축되는 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한다. 수용가의 전력사용 패턴을 분석,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 컨설팅을 비롯한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를 결합·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전, LS산전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사업지역은 서울, 충남, 제주, 부산, 남양주, 전북, 인천 등이다.

 

협의회에서는 정부가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규제개선이 스마트그리드 확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기업들은 프로슈머의 이웃간 전력거래 허용, 소규모 분산자원 중개시장 개설, ESS(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전용 요금제 도입 등 미래지향적 규제개혁을 통해 스마트그리드의 경제성을 높이고 새로운 사업모델 창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나승식 에너지신산업정책단장은 인사말을 통해 “에너지신산업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핵심 플랫폼인 스마트그리드가 전국으로 확산돼 다양한 신산업모델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가 필요한 제도개선과 수출 프로젝트 발굴에 노력하는 만큼 기업들이 적극적인 투자로 화답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정책협의회에는 산업부를 비롯해 한국전력, SK텔레콤, KT 등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컨소시엄 주관 기업과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스마트그리드사업단 등 유관기관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