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간 전력거래 가능해진다
산업부, 프로슈머 실증사업 실시
지붕위 태양광으로 생산한 전기를 옆집에 팔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이웃간 거래효과가 표시된 전용 전기요금 고지서도 발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이날부터 한국전력과 공동으로 프로슈머 이웃간 전력거래 실증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실증사업 출범식은 태양광을 보유한 프로슈머 가구가 다수 포진해 있는 전원마을인 수원 솔대마을에서 개최했다.
프로슈머란 전기를 소비하면서 동시에 태양광 등 분산형 전원을 보유해 전기 생산까지 하는 사람을 뜻한다. 생산한 전력을 직접 사용하고도 남는 전력을 보유한 프로슈머와 누진제 등으로 전기요금 부담이 많은 전기소비자간 이상적 거래조건이 실현되는 셈이다.
산업부는 주민호응도, 기대효과 등을 감안해 수원 솔대마을, 홍천 친환경에너지 타운 2개 지역을 우선 선정했다.
수원 솔대마을은 아파트단지 외곽에 위치한 전원마을로 전체 18호 가운데 태양광보유는 11호에 달한다.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전체 19호 중 11호의 태양광을 보유하고 있다.
솔대마을은 프로슈머의 경우 남는 전력량 평균이 240kWh이며, 이웃의 평균전기요금은 10만4000원∙평균전력사용량은 274kWh다.
산업부 관계자는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증가로 스스로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프로슈머가 에너지 패러다임의 주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프로슈머가 생산하는 전기가 늘어나며 프로슈머는 기존 전력판매사가 주도했던 전력거래시장에서 전기를 판매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로 등장했다.
가정용 태양광은 2013년(198MW), 2014년(295MW), 지난해(428MW) 등 꾸준한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프로슈머와 이웃간 거래는 프로슈머가 스스로 생산하고 남은 전기를 누진제 등으로 전기요금 부담이 큰 이웃에게 판매하는 혁신적 전력거래 방법으로 꼽힌다. 프로슈머 거래는 프로슈머와 전기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국민 참여형 모델이다. 잠재시장규모는 주택용 전기요금이 20%에 달하는 약 1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누진제 5단계 이상 120만 가구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프로슈머는 지붕위 등 설치 가능한 모든 공간에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하고 사용 후 남는 전력을 이웃에게 판매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전기소비자는 그간 유일하게 전기를 공급했던 한전 이외에도 사용하는 전기 일부를 프로슈머로부터 구입함으로써 전기요금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
우태희 산업부 차관은 실증사업 출범식에 참석해 “프로슈머 거래의 의미와 효과를 강조하고, 프로슈머 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다하겠다”고 언급했다.
조환익 한전 사장은 “판매사업자인 한전도 에너지신산업의 조기성과 창출과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 프로슈머 거래가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실증사업을 바탕으로 프로슈머 거래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계획이다. 제주도 등 신산업 아이콘 지역, 프로슈머 거래 효과가 큰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 시행 지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개인단위로 한정하지 않고 사업자로서도 프로슈머가 전기를 생산∙판매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