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주개발 사업에 7464억원 투입

발사체, 인공위성, 달탐사 등 계획 확정

2016-02-28     원태영 기자

 

국내 공공위성으로는 처음으로 민간기업이 주도해 개발한 다목적 실용위성 3A호 / 사진=뉴스1

정부가 올해 우주기술 개발에 총 7500억원을 투입한다. 한국형 발사체과 인공위성 등을 독자 개발해 핵심기술을 국산화하고 우주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6일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열린 ‘제23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 우주개발·우주위험대비·우주기술산업화전략·위성정보활용 등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투입금액은 7464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9.5% 늘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정부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에 올해 2965억원을 투자한다. 올해 75톤(t)급 주력 엔진에 대해 조립 후 시동절차 개발, 연소시험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2017년 발사 예정인 시험발사체를 위해 나로우주센터 발사대도 개량한다.

 

정부는 달 탐사 등 우주탐사 사업에도 285억원을 투입한다. 앞으로 시험용 달 궤도선 본체와 과학임무를 수행할 탑재체 등을 설계·개발하고, 궤도선 관제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심우주지상국과 안테나 구축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기술협력을 위한 국제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우주개발 역사 상 최초의 우주탐사 프로젝트인 달 탐사 사업은 오는 2018년까지 1978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전략적 국가위성 개발로 국가안보 등 공공수요 대응 및 우주기술 자립화 기반 마련을 위해 다목적실용위성 6호, 다목적실용위성 7호, 정지궤도복합위성 2기, 차세대중형위성, 차세대소형위성 등 6기를 지속 개발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282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그 밖에 우주물체 추락·충돌 등 우주위험으로부터 국민 안전과 우주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대응체계도 만든다. 미래부는 우주위험 범부처 종합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 관계 기관별 우주위험 대응 행동매뉴얼을 수립하고, 이를 숙달하기 위한 우주위험대비 민관군 합동훈련을 오는 5월부터 실시한다.

 

또 우주위험 감시·대응 기술 확보 차원에서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구축사업을 함께 진행한다. 우주물체 정밀감시를 위해 레이더시스템 기반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위성정보와 빅데이터 등 타분야와 연계한 연구개발(R&D)를 통해 신산업 창출 기반도 마련할 방침이다. 권역별 세계시장 진입전략을 마련해 우주제품 수출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 국가우주사업의 산업체 수주 확대, 창업기업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우주기술 산업화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은 “우주기술개발은 단순히 국력과 기술수준을 과시하기 위한 게 아니라 머지않은 미래에 실제 먹거리가 될 것”이라며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 정부가 우주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만큼 철저한 계획과 점검 하에 관련 정책과 사업들을 추진하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