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견 공시제 유명무실...매도의견 없어
투자의견 제시에 걸림돌 많아
증권사별 투자의견 비율 공시제도를 도입했지만 유명무실해지고 있다. 매수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는 증권사의 기업 분석 관행 개선을 위해 투자의견 비율 공시를 시행했지만 여전히 매도 의견은 찾아볼 수 없다.
2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투자의견을 제시하는 국내 증권사 32곳 가운데 20곳이 매도 의견을 담은 리포트 비중이 0%로 집계됐다.
KDB대우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등과 같은 대형사들의 매도 의견도 0%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증권 1.3%, NH투자증권 1.1%, 대신증권 1.1%, 현대증권 0.3% 등 매도 의견 비율은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이런 가운데 한화투자증권의 매도 의견 비율이 7.4%로 가장 높았다. 하나금융투자 3.0%, 한국투자증권 2.2% 등도 소폭 늘었다. 반면 외국계 증권사들의 매도 의견 비율은 높은 수준을 보였다. 메릴린치 30.1%, 모건스탠리 19.0%, 골드만삭스 15.5%, 맥쿼리 14.3% 등으로 나타났다.
금투협은 지난해 5월29일 증권사별 투자의견 비율 공시제도를 도입했지만 매도 의견을 담은 리포트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증권업계 내부에서는 애널리스트들이 투자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없는 환경이 고착화돼 있어 관행을 타파하기 어렵다는 볼멘 소리를 내고 있다.
기관, 기업 고객과의 관계, 매수 위주의 투자 방식 등을 감안했을 때 매도 의견을 내기란 쉽지 않은 것을 보인다. 매도 의견을 내면 해당기업 탐방에 제약이 뒤따르고, 기관투자가의 보유 종목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나올 경우 거래 증권사가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황영기 금투협회장은 “투자의견 공시는 증권사들의 평판과 고객 신뢰에 대한 객관적 지표인 만큼 자율적인 개선 노력이 나타날 것"이라면서도 “그보다 우선적으로 자본시장 환경과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