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올해 건설·정유 제외 제조업 중국 한파"
2016년 산업기상도 조사 결과
올해 국내 산업 중 건설, 정유·유화 업종을 제외한 다수 업종에서 중국 경기 침체 영향으로 부진이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0여개 업종단체와 공동으로 진행한 2016년 산업기상도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7일 밝혔다.
대한상의는 건설 업종과 정유·유화 업종은 각각 주택경기 호조세와 저유가 등의 영향으로 따뜻한 햇볕이 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제조업 분야는 중국발 악제로 전자․IT, 자동차, 기계, 철강, 섬유․의류는 흐리고 조선 업종은 차가운 눈이 내려 국내 산업 수은주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종은 지난해 호조세가 올해 상반기까지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건설수주 전망치는 123조원으로 지난해(140조원)와 2007년(128조원)에 이어 역대 3번째 수준으로 예상됐다. 업계 관계자는 "이란 제재 해제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공식출범으로 해외건설도 청신호"라고 밝혔다.
정유업계도 저유가에 석유제품 수요가 견고한 상황으로 분석됐다. 정제마진은 지난해초 배럴당 3달러선에서 지난해 12월엔 8.7달러까지 뛰어올랐다. 다만 중국경제 둔화로 인한 차이나 한파와 공급과잉(테레프탈산, 카프로락탐) 등 업계의 근본적 과제가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고 분석됐다.
대한상의는 중국 제조업 굴기가 계속되며 국내 제조업 입지가 중국에 크게 위협받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전자·IT 업종은 실적 전망이 어둡게 전망됐다. 성숙기에 접어든 스마트폰시장 성장률이 5년만에 처음으로 한자리수(7.4%)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여기에 중국의 공격적인 생산·투자도 부담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디스플레이도 중국의 물량공세로 1년 동안 평균 가격이 30% 떨어졌다.
철강 업종은 중국 업체들의 과잉생산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 중국 업체들은 자국 내수시장이 어려워지자 과잉생산 물량을 지난해보다 29% 싼 가격에 세계 시장에 쏟아내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중국산 점유율이 40%에 이른다. 다만 올해부터 공공건설에 시행되는 자국산 우선 구매제도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종 역시 전망이 어둡다.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로 사상최대치(180만대)를 기록했던 내수판매는 올해 3.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토막 났던 러시아(-64.8%), 브라질(-56.4%), 중국(-47.6%) 등 신흥국 수출도 통화약세로 부진을 면치 못할 전망이다.
최악의 부진을 겪고 있는 조선 업종도 어려움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저유가로 신규발주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 수주량은 지난해보다 2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이다. 업계에선 통상 국제유가가 배럴당 60달러는 돼야 해양플랜트의 의미있는 수요개선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유가는 30달러 수준이다. 여기에 더해 중국의 저가 물량공세와 일본의 기술력에 맞서야 하는 상황이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중국이 차이나 인사이드로 주요 제조업을 자급자족하고 있는 가운데 자국 내 초과공급물량을 낮은 가격으로 수출 밀어내기를 하고 있다"며 "선제적 구조조정,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경쟁제품의 차별화와 고품질 소비재 수출로 차이나 한파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