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화두 ‘중도상환수수료’ 낮아진다
시중은행들이 올해 안에 중도상환수수료를 낮출 예정이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15일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시중은행들이 연내 자체적으로 중도상환수수료 개편 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진 원장은 "기업은행이 최근 인하 계획을 밝혔고 우리은행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중도상환수수료는 고객이 대출 만기 전에 대출금을 갚을 경우 은행들이 고객에게 물리는 벌칙성 수수료다. 시중은행들은 대체로 대출잔액의 1.5%로 수수료율을 책정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지난 2월부터 가계·기업대출 중도상환수수료를 대출 종류에 따라 최대 1.0% 포인트(P) 인하했다.
우리은행은 세부사항이 정해지지 않았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중도상환수수료 인하 시행은 오는 10월 중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인하폭과 대출 종류 등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KEB하나은행 관계자 역시 “중도상환수수료 인하는 오는 10월 중 시행할 예정이고 은행권 모두 대체로 비슷할 것”이라며 “세부사항은 논의 중이고 정해지는 대로 금감원에 계획안을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진 원장은 이날 국정감사 자리에서 가계대출 문제와 관련해 “미국 금리 인상 이후 한국은행이 언제 금리를 인상하느냐에 따라 가계의 여건이 달라질 수 있다”며 “대응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진 원장은 “거대한 가계대출 규모를 한 번에 줄이면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끼질 수 있어 최대한 미시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며 “대신 취약 계층에 대해선 프리워크아웃을 활성화하거나 서민 대책을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업 부채는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며 “회생이 가능한 기업은 신속히 회생시키고 안 되면 주채권은행 중심으로 기업구조조정 시스템을 가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불투명 문제가 불거진 롯데홀딩스에 대해서는 “2200개 업체로부터 분기마다 100여개 항목의 사업보고서를 받다 보니 면밀히 못 본 측면이 있다”며 “금융감독 차원에서 적정성을 따져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