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으로 내몰리는 서민들
은행 금리인하 불구 되려 대출 기피
기준금리 인하와 대조적으로 저축은행 대출금리는 높아지고 있다. 서민들이 금리가 5% 이상 높은데도 저축은행으로 몰리기 때문이다.
금리가 낮아진 뒤 부실대출을 차단하려는 은행들이 조금이라도 위험하면 아예 대출을 기피한 것도 한 몫 했다.
한은에 따르면 6월 기준금리 인하 여파로 시중금리도 따라서 내려갔다. 7월 신규 취급액 기준 순수저축성예금 금리는 1.54%로 전달에 비해 0.11%포인트 내렸다. 대출금리는 3.43%로 0.06%P 하락했다. 금융기관들의 예대마진은 늘어난 셈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2.96%로 지난 4월 이후 다시 3%선 아래로 내려왔다. 일반 신용대출 금리도 지속적으로 하락해 4.5% 미만 수준이다.
이처럼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금리가 내렸으나 은행은 대출을 늘리지 않고 있다. 자금 시장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모양새다. 급격히 늘렸던 주택담보대출이 6월중 갑작스레 11조8000억원 감소세로 전환된 게 단적인 모습이다. 금융위원회가 방향을 틀어 원리금 분리 상환과 상환능력 심사를 강화라고 나섰기 때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용 심사가 사실상 담보물 심사가 됐다. 소득이 안정적이어야 담보물도 설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연소득이 7000만원인 장기근속자가 다시 돈을 빌리러 왔다. 기존 주택 보유자가 전세금 상환을 독촉해 돈을 재차 빌리는 거다. 신용도를 보고 대출을 해줘도 심사부는 불안에 떨 수밖에 없다. 저신용자에게 대출이 가당키나 하겠나”라고 지적했다.
은행이 취약계층 대출을 줄이자 저축은행이 그들을 맡고 나섰다. 비은행금융기관 중 유일하게 저축은행 대출금리가 올랐다. 일반대출 기준으로 7월 중 0.53%P 상승한 11.75%다. 7월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16.35%로 은행 신탁대출 금리(3.76%)의 4.4배에 육박했다.
개별 은행 중에선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등이 중금리 대출을 확대하고 있지만 사실상 소득이 안정적인 고신용자를 상대로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